K뷰티 트렌드 - 모든 산업이 배워야 할 혁신 DNA 트렌드코리아 리서치 시리즈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K뷰티 트렌드

김난도 외

미래의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요즘 들어 부쩍 해외 뉴스에서 한국 화장품 소식을 자주 접했다.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 수출 1위를 했다거나, 우리가 이름도 생소한 인디 브랜드가 아마존 판매 순위를 석권했다는 믿기 힘든 이야기들이다. 매일 똑같은 루틴 속에서 잠시 잊고 지냈지만 내가 쓰는 이 작은 화장품이 전 세계를 무대로 뛰고 있다는 것에 놀라웠다.

팬데믹이 끝난 이후,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에게 K뷰티 쇼핑은 여행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다.

본문 중에서

수많은 소비재 중에서 유독 K-뷰티가 이토록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고 사랑받게 된 데에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치열한 노력과 단단한 성공 공식이 숨어있었다. 이 책은 막연했던 궁금증에 명쾌한 답을 보여준다. 한류의 후광 효과를 넘어 하나의 산업이 어떻게 생태계를 구축하고 시대의 흐름을 읽어낼 수 있었는지 알 수 있는 책이다.

K-뷰티의 성공은 브랜드, 제조사(ODM), 유통사라는 세 주역이 서로를 밀고 끌어주며 함께 진화하는 '공진화'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까다롭기로 유명한 한국 소비자들의 니즈를 정확히 꿰뚫고 세상에 없던 제품을 기획해 내는 인디 브랜드, 그 상상력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으로 현실화해주는 한국콜마나 코스맥스 같은 든든한 ODM 기업이 있었다.

여기서 핵심은 '얼마나 집요하게 파고드느냐'다.

본문중에서

세상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재편되던 시기에 K-뷰티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버렸다. 팬데믹으로 오프라인 시장이 얼어붙었을 때 K-뷰티는 재빨리 아마존과 틱톡 같은 새로운 플랫폼으로 눈을 돌렸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대목은 속도력과 대응력이다.

소비자의 목소리에서 출발해 그들이 원하는 것을 역으로 기획하는 '역설계' 방식으로 제품을 만든 것이다. 이는 변화의 속도가 생명인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K-뷰티가 왜 강할 수밖에 없는지 명확히 설명해 준다. 성공 뒤에는 사람이 있었다. 2030 중심의 젊고 유연한 조직문화로 빠른 의사결정을 하고 시장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검색어 데이터에 기반한 빠른 트렌드 센싱이다.

본문 중에서

이 책에서 K-뷰티의 숨은 설계자로 '덕후력'을 가진 고객을 꼽는다. 누구보다 제품에 대해 깊이 파고들고, 날카로운 피드백을 하면서 열렬한 홍보대사가 되어주는 충성스러운 고객이 있었기에 K-뷰티는 끊임없이 발전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는 K-뷰티에 K라는 수식어를 떼어내야 한다. 한국 제품이라는 인식 없이 오직 브랜드 자체의 힘과 제품력으로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진정한 글로벌 브랜드로 거듭나는 것이다. <K-뷰티 트렌드>를 통해 시대를 이끄는 트렌드의 본질과 성공하는 비즈니스의 핵심을 배울 수 있었다.

#K뷰티 #트렌드코리아 #비즈니스인사이트 #성공전략 #올리브영 #인디브랜드 #글로벌트렌드 #마케팅 #책리뷰 #서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