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무죄 세계의 사랑법 - 범죄 너머에서 발견한 인간에 대한 낙관
정명원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 Book Review ::

법은 모든 것을 담지 못한다

유무죄 세계의 사랑

정명원

한겨레출판

지금 세상사를 보면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다. 최근 윤석열이 한 비상계엄도 그렇고 정치와 군에서 일어난 사건을 보면서 진짜 세상은 더 복잡하고 냉혹하다는 것을 느꼈다. 그런 뉴스들을 보다 보면 인간에 대한 희망이 사라지는 느낌도 든다. 세상은 선과 악, 유죄와 무죄로만 나뉘는 걸까?

검사라는 직업은 가장 극단적인 인간을 마주해야 하는 자리다. 날마다 누군가의 인생을 공소장으로 정리하고 유죄를 입증해야 하는 곳. 이 책의 저자인 정명원 검사는 법률 문서 바깥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을 오래 바라본 기록이다.

저자는 말한다.

"일하며 내가 매일 마주한 것은 시커먼 악의 얼굴도 청명한 정의의 얼굴도 아니다. 다만 애쓰고 있는 평범한 이들의 얼굴이다"

이 문장이 책의 핵심이 아닐까?

진심을 믿었던 순간의 뜨거운 기억이 검사를 다시 나아가게 한다.

본문 중에서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저자가 직접 다뤘던 사건들을 바탕으로 공소장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풀어낸다. 뉴스에서 보면 한 꼭지로 정리되는 사건들이 이 책에서는 살아 있는 삶의 조각 같다. 2부는 검사라는 직장인으로서의 이야기가 나온다. 신참 검사 시절, 상사 때문에 사직서를 고민하던 회식 문화 등 직장인으로서 나도 겪었던 일들이라서 그런지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았다. 3부는 상주라는 작은 지역에 벌어진 다정한 이야기들이 주를 이룬다.

아무래도 그것이 알고싶다 같은 류의 다큐를 좋아하다보니 1부가 흥미진진했다. 법은 유죄나 무죄냐로 모든 것을 판단하지만 저자는 그 사이에 있는 질문을 놓치지 않는다. 내가 막연히 떠올리는 검사라는 이미지와는 많이 달랐다. 누군가의 충성에 둘러싸인 권력의 구조, 초연한 척 하면서도 사실은 그 구조의 일부가 되고 싶었던 마음 그것이 들킬까 떨었던 두려움까지 정직하게 모두 쏟아내고 있다.

실타래같이 엉킨 민원 너머로 두려움 없이 사람을 보고자 하는 이의 눈빛이 거기에 있었다.

본문중에서

<유무죄 세계의 사랑법>은 형사법의 경직된 구조에서 '사랑'이라는 단어를 끼워넣었다. 다소 어울리지 않는 조합처럼 보이지만 책을 읽다 보니 사랑이라는 단어가 왜 들어갔는지 알 것 같았다. 가족을 교통사고로 잃었지만 가해자를 걱정해 돈이 든 합의서를 내미는 피해자 가족은 어떤 법적 분류로 들어가지 않는 존재들이다.

결국 검사라는 직업도 사람을 다루는 일이다. 어떤 이의 슬픔을 법의 언어로 완벽히 대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슬픔을 외면하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무는 것도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법의 얼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검사 일이 다 업을 짓는 일이야. 밖에 막 자유롭게 돌아다니던 사람을 잡아다가 가두는 일이 이게 보통 업이 아니야. ...중략...

스님이, 이런 업은 괜찮대. 좋은 뜻을 위해 하는 일이니까.

본문 중에서

이 책을 읽고 나면 유죄냐 무죄냐를 떠나서 사람을 본다는 것이 얼마나 복잡하고 중요한 일인지 다시금 느끼게 된다. 요즘처럼 사법개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은 시대에 이 책은 검사의 수사나 판결 이상의 가치를 이야기한다. 검찰의 투명성과 권한 남용, 공정한 기소 제도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그 바탕은 결국 '사람을 위한 법'이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법과 정의의 이름으로 너무나 많은 상처가 반복되는 현실에서 이 책은 따뜻한 빛처럼 다가온다.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현실 속에서 필요한 건 사람을 사람으로 보는 시선일지 모른다.


#유무죄세계의사랑법 #정명원검사 #친애하는나의민원인 #검사의에세이 #법과인간 #유죄와무죄사이 #공판검사 #유퀴즈출연 #검찰개혁 #에세이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