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을 연기하지 말아요 - 비교하고 꾸미지 않아도 충분히 아름다운 당신
니시자와 야스오 지음, 최은지 옮김 / 샘터사 / 2018년 7월
평점 :

<행복을 연기하지 말아요>는 일본저자 '니시자와 야스오'의 에세이집이다. 주로 5~6바닥 분량의 글들을 주제별로 5장으로 구분해 놓았다. 그 5장의 소주제는 마음이 따뜻해 지고, 편안해 지고, 한바탕 웃고나면 홀가분해 지고, 뭉클해 지고, 마음에 남는 이야기들이다.
대부분 주위에서 벌어지거나 들은 이야기들인데 짧지만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이런 책들은 읽기에 부담이 없어서 마음 편하게 손에 쥐어도 된다.
책 읽을 시간이 없다~ 너무 두꺼워서 부담스럽다~ 호흡이 길어서 등장인물과 사건을 기억하기 어렵다~~ 같은 걱정없이 잡을 수 있는 책이다. 몇몇 내용은 어디선가 들어본 적 있는 듯한 것도 있는데 뭐 그런 건 패쓰하면 될테고~~ 일본인의 이야기라서 그들의 태도나 사고방식 같은 것을 엿볼 수 있는 내용도 있어 그 부분은 새로웠다. 그외 대부분은 사람 살아가는 따뜻한 이야기므로 머리맡에 두고 한 두편씩 읽은 후 흐뭇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들면 좋겠다.
책 내용 중 마음에 와닿은 몇 가지를 살펴보자면...
p.56 부처가 고행을 통해 얻은 것
'괴로움은 그저 괴로울 뿐, 괴로움을 통해 깨달음에 가까워지지는 않는다!'
부디 고행을 수행이라고 착각해서 '고행을 위한 고행'을 계속하지 않긴 바란다. 매일 괴로움에 힘들어하는 당신. 당신이 힘겹게 견디고 있는 괴로움은 수행인가? 아니면 고행인가?
평소 '주마가편'식으로 한눈 팔지 못하게 하는 편이다. "왜 그렇게 힘들게 사냐?"는 핀잔을 듣기도 한다. 성향이 그러니 어쩌겠냐며 변명아닌 변명을 하곤 했다. 싯타르타는 고행의 무의미함을 깨닫고 어느 처녀가 만들어준 우유죽을 먹고, 보리수나무 아래서 49일간의 명상 후 깨달음에 이르렀다고 한다. 싯타르타는 성인이 되었는데 나는?? 걍 자신을 괴롭히는 변태인가 싶기도 하다. 덜 괴롭혀야겠다.
p.254 흰색 지팡이의 사인
'무지'는 때론 아주 슬픈 오해를 낳는다.
시각장애인이 흰색 지팡이로 점자블록을 탁탁 치면서 걸어가고 있는데 어떤 할아버지가 시끄럽다며 주의를 주니, 시각장애인은 일일이 설명하고 싶지않아 사과하고 자리를 떴다고 한다.
지팡이로 내는 소리는 주위사람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수단이다. 눈에 보이면 옆에서 다가오는 사람을 알아차리고 부딪치는 것을 피할수있지만, 보이지 않으면 갑자기 다가오는 사람을 막을 방도가 없다.
요즘 배리어프리영화 화면해설작가 수업을 받는 중이다보니 시각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비장애인이 시각장애인의 불편함을 알리가 없지만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흰색지팡이의 사인을 알아차릴텐데 무심함이 드러나는 사연이다. 우리는 평소 어떤가. 실제 그들을 만날 일이 거의 없어서 잘 모르고 지내지만 시각장애인이 얼마나 불편하게 살아가는지에 대해 점점 알아가게되니 미안하고 부끄럽다. 배리어프리영화가 단지 시청각 장애인용이 아니라 그들을 포함한 비장애인 모두를 위한 영화이어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모두~ 다같이~~ 행복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눈앞의 행복을 연기(延期)하지 말고 그렇다고 가식적으로 행복을 연기(演技)하지도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