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작화법 - 게임 캐릭터, 웹 소설·전자책 표지를 위한 AI 활용의 모든 것
하묘 지음 / 성안당 / 2025년 8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평소에 게임 캐릭터 디자인과 웹소설 표지, 전자책 커버 같은 시각적 요소에 관심이 많았어요. 최근에는 AI 이미지 생성 도구들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직접 그림을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아도 창작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더라고요. 그런데 막상 AI 툴을 접하려니 기능이 너무 방대하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서 [AI 작화법]를 읽어 보았어요.

[AI 작화법] 초반에는 포토샵과 어도비 파이어플라이를 활용한 AI 이미지 편집 방법이 다뤄지고 있었어요. 이전에는 포토샵을 사진 보정용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AI 일러스트 제작 과정에서도 매우 활용도가 높아서 의외였어요. 드로잉 도구로 간단한 라인을 잡아두고 i2i 기능을 통해 이미지를 간소화하거나, 자동 선택 도구와 복구 브러시로 세부적인 부분을 수정하는 방법은 실전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라 좋더라고요. 그리고 얼굴 인식 기능과 픽셀 유동화 필터를 활용하면 캐릭터 표정이나 비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도 흥미로웠어요.
또한 어도비 파이어플라이를 이용해 텍스트 프롬프트만으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스타일 효과를 추가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정리되어 있었어요. 덕분에 평소 연출하고 싶었던 분위기의 일러스트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조금이나마 알 수 있어서 좋았어요. 또한 기존 이미지에 요소를 추가하거나 필터링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분위기로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포토샵은 단순한 보정 툴을 넘어 AI 이미지 창작의 핵심 툴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Novel AI에 대한 설명도 자세히 나와있었는데요. 개인적으로 이 파트가 가장 흥미로웠어요. Novel AI는 캐릭터 일러스트 제작에 활용하는 툴인데, [AI 작화법]에 가입부터 UI 설명, 프롬프트 작성법, 태그 활용까지 꼼꼼히 다루어져 있어서 유용하더라고요. 프롬프트에 퀄리티 태그를 붙여 이미지를 생성해 봤는데 결과물이 확실히 더 정교해지더라고요. Enhance, Variation, Upscale 같은 기능을 활용하면 같은 캐릭터를 다양한 구도로 변형할 수 있다는 점도 인상적이었어요.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잘 설명되어 있었는데, 기존 그림의 분위기를 다른 이미지에 입히거나 디렉터처럼 세부적인 요소를 조정할 수 있어 좋았어요. 웹소설 표지를 제작할 때 캐릭터와 배경의 조화를 맞추고 싶은 분들에게 정말 유용한 기능이었어요.
일본풍 일러스트에 특화된 니지저니는 사실 처음 보는 툴이 얼어서 생소했는데요. [AI작화법]에 디스코드 서버 가입, 구독 방법부터 비공개 스레드에서 안전하게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좋더라고요. 니지저니에 있는 Vary(Region) 기능을 이용하면 원하는 부분만 수정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 기능 덕분에 한 장의 이미지를 완성하기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그리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다듬을 수 있을 거 같다라고요. 그리고 blend 기능도 신박했는데요. 여러 장의 이미지를 혼합해서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어서 잘 활용하면 전자책 표지를 만들 때 굉장히 유용할 거 같아요.

마지막으로 스테이블 디퓨전 부분은 조금 난이도가 있었는데요. Web UI 설치 과정부터 ControlNet 활용법까지 자세히 다루고 있어서 AI 그림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유용해 보였어요. 특히 ControlNet의 OpenPose 기능으로 원하는 포즈를 적용하거나 Canny로 라인을 인식시켜 정밀한 결과를 얻고자 할 때 정말 유용하겠더라고요. 그리고 특정 캐릭터 스타일을 반복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었는데 이 기능도 이후에 웹소설 표지를 제작할 때 일관성 있게 작업물을 만들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아 보였어요.
[AI 작화법] 한 권으로 포토샵과 Novel AI, 니지저니, 스테이블 디퓨전을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몇 번 읽고 따라 하다 보면 직접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원하는 콘셉트와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겠더라고요. AI 입문서용으로도 좋지만, 어느 정도 경험이 있는 분들도 읽어 보시면 정말 좋을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