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돈 사용설명서 : 돈을 웃게 하라! 2억 우주님 시리즈
고이케 히로시 지음, 아베 나오미 그림, 이정환 옮김 / 나무생각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억이라는 큰 빚을 약 9년 만에 청산한 저자 고이케 히로시가 들려주는 돈의 이야기는 어떤 것일까? 과연 그는 어떤 방법으로 2억의 빚을 갚아 낼 수 있었을까? 궁금한 마음에 책을 읽었습니다. 요즘 아무리 억 단위가 남발하는 시대라 하더라도 일반인에게 '억'은 여전히 크게 느껴지는 돈의 단위입니다. 또한 액면적 금액만큼이나 사람을 힘들게 하는 것은 마음을 억누르는 두려움! 그 두려움의 무게는 측량할 수 없을뿐더러 그 정도가 무한대로 커져 채무자를 짓눌러 일어설 수 없도록 만들기도 합니다. [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돈 사용설명서]의 저자 고이케 히로시는 그러한 상황 속에서 우주의 메시지에 귀 길울여 위기를 극복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우주에서 보내는 메시지 즉 상황을 진취적으로 바라보는 마음의 자세와 의지 그리고 강한 믿음이었고, 이러한 믿음과 자신이 처한 극한 상황을 반드시 이겨내고야 말겠다는 강한 신념들이 모여 우주의 메시지가 되고, 그 메시지를 통해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나가는 힘을 만들어주는 것 같았습니다.


돈은 사용을 하면 모습을 바꾸어 너희에게 필요한 물건이나 지식, 시간 등을 제공 해주는 '신'이야. 그래서 돈을 사용할수록 그 에너지에 감싸이지. 돈을 써서 무엇을 얻고, 인생이 어떻게 바뀌는지 봐. 돈이 그것을 마음껏 즐기거든. 그리고 돈은 올바른 방향으로 사용해야 더욱 증폭된다는 사실을 잊지마!

_[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돈 사용설명서], 068page





마음은 뇌를 통해 신체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지령을 내린다. 어떤 경우든 신체의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마음은 신체가 부상을 당하지 않고 안전하게 이 지구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사람을 조종한다. 위험하다는 느낌이 드는 일에 대해서는 매우 민감하게 대응한다. 자신이 진심으로 원하는 일조차 위험하다는 판단이 들면 그 위험을 피하는 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_[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돈 사용설명서],158page


'돈이 없어질 것을 걱정하여 저금을 한다.'는 방향으로 움직여버리면 과거의 제한적이고 부정적인 돈의 개념으로 돌아간다. "돈을 모아 강좌를 듣고 싶다."라거나 "돈을 모아 현금으로 집을 구입하고 싶다."는 식으로 사용 목적을 주문한 이후에 돈을 모으는 것은 소원을 실현시키기 위한 행동의 하나이지만, "병에 걸리면 곤란하니까."라거나 :노후 자금이 없으면 살기 어려우니까."라는 이유에서 돈을 모으려 하면 그것들이 주문이 되어 걱정했던 문제가 현실로 나타난다.

_[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돈 사용설명서],203page




[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돈 사용설명서]에서는 돈을 대하는 자세를 중요시합니다. 저축으로서의 돈의 가치보다는 도구로서의 돈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우리가 돈을 모으는 이유는 원하는 무언가를 얻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돈은 수단으로서 가치 있다고 봅니다. 돈을 모으고자 한다면 구체적인 이유가 있어야 하고 돈을 모은 후에는 반드시 기쁜 마음으로 그것을 실행하면 됩니다. 기부를 한다면 기쁜 마음으로 기부하면 되고, 무언가 사고자 한 게 있다면 기쁜 마음으로 그것을 구매하면 됩니다. 하지만 억지로 기부해야 할 거 같아서 또는 원하는 것은 따로 있지만 저렴하니까라는 생각으로 돈을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합니다. 힘들게 번 돈을 기쁘지 않게 사용하게 된다면 선순환을 만들어내기 어려워집니다. 궁극적으로 돈이 떠나게 됩니다. [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돈 사용설명서]는 바로 우리가 돈을 모으고자 할 때, 쓰고자 할때, 사용한 후에 어떻게 돈을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일러주었습니다. 돈이 들어올 때뿐만 아니라 나갈 때조차도 감사한 마음으로 돈을 대해야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습니다. 돈에 끌려다니지 않고, 쓰면 쓸수록 풍요로워진다는 말이 어떤 의미인지를 알게 해주는 책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