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스토리텔러들
이샘물.박재영 지음 / 이담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탁월한 스토리텔러들]의 저자 이샘물님은 동아일보 기자로 일하시다가 미국 UC버클리 저널리즘 스쿨에서 석사학위를, 박재영님은 조선일보 기자로 일하다가 미국 미주리대 저널리즘 스쿨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고 합니다. 그들은 미국에서 직접 보고 배우고 연구한 것들을 바탕으로 한국 언론계와 다른 미국 언론계의 특징인 '기자들의 스토리텔링 비법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미국 얼론계에서는 육하원칙에 근거한 정보 전달을 중요시하는 기사에서조차 스토리텔링을 중요한다고 합니다. 똑같은 사건일지라도 누구의 스토리텔링을 거쳤느냐에 따라 기사의 영향력은 크게 좌우된다고 합니다. 미국 언론계에서는 뉴스에 스토리를 입혀 매력적인 정보로 가공하여 전달하는 스토리텔이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스토리텔링을 잘 활용하여 인상 깊은 기사를 쓰는 기자들을 '탁월한 스토리텔러'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사실관계를 기반으로 한 한국 언론계와는 달리 스토리텔링을 뉴스와 기사에 활용한다는 사실은 굉장히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탁월한 스토리텔러들]에서는 저자들이 미국에서 직접 보고 배우고 연구한 현지 언론계의 스토리텔링 비법들과 미국 언론계의 실제 기사들을 통해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이란 어떤 것이고, 그것이 기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익명을 중요시 하는 한국 언론계와는 달리 미국 언론계에서는 신뢰성을 매우 중요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계자"라는 표현과 같은 두리뭉실한 출처를 사용하지 않고, 기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실명을 밝히는가하면 가급적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_미국기자협회는 "대중은 취재원의 신뢰성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얻을 자격이 있으며, 저널리스트들의 가장 중요한 직업적인 소유물은 신뢰성"이라고 명시한다. 언론사들은 심지어 취재원이 내부 고발자임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신원의 일부를 드러내기도 한다. (099 page)_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을 촉발시킨 내부 고발자의 신원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 그리고 네일아트 산업을 다룬 기사에서 본명과 당사자들의 신원을 노출했다는 점 등을 보아도 미국 언론계에서 얼마나 정보의 신뢰성을 중요시하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탁월한 스토리텔러들]을 읽으며 실명으로 인한 고발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는 건 아닐까 걱정했지만, 우려와는 달리 해당 보도 미국 언론계에서도 제한적으로 익명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 익명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에디터가 익명으로 보도해야 하는 사유부터 동기, 신뢰성, 인터뷰의 디테일 등을 판단한다고 기준에 근거하여 보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미국 기잘들은 많이 읽고 많이 써봄으로써 글쓰기 감각을 익히는 직관과 느낌에 의존하는 모호한 방법의 글쓰기보다는 체계적인 영역으로 인식하고, 기사의 구조를 학습함으로써 글을 쓰는 방법을 익히는 것을 중요한다고 합니다. 기자들은 취재한 내용을 리드, 핵심 문단, 한 장면, 배경, 또 다른 장면, 더 많은 배경, 마지막 문단으로 구성된 기사 구조 템플릿 맞추어 구조를 짜고, 내용을 점검하며 필요시에는 추가 취재를 하며 기사를 작성합니다. _미국 기자들에게 구조는 건축가들의 설계만큼이나, 소설가들의 스토리라인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다. 그것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내용 전체의 충실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200 page)_ [탁월한 스토리텔러들]에서 제시된 다양한 예들을 통해 각 기사들이 어떻게 쓰여졌는지, 기사의 구조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복잡한 과정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 언론계에는 기사를 신선한 눈으로 점검하는 존재가 있다. 초고 작성 과정과 비교적 동떨어져 있는 카피 에디터들이다. 언론사에 따라 카피 에디터의 직책이 별도로 구분돼 있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그 역할만큼은 건재하며, 중요하게 인식된다. (282 page)_ 취재부터 초고 작성까지 정말 까다로운 과정을 거쳤음에도 이게 끝이 아니었습니다. 카피 에딧이라이라는 편집자에 의해 작성된 기사는 독자들의 관점에서 재점검됩니다. 문법적인 오류나 오탈자를 걸러는 국내 언론사와는 달리 새로운 관점에서 내용을 바라본다는 차이점이 있었습니다. _ 미국의 작가 윌리엄 진저는 "에디터는 자신이 이해하지 않는 어떤 것도 인쇄되는 것을 허락해서는 안 된다. (283 page)_ 사실이 왜곡되거나 기자의 관점으로 인해 독자에게 혼란을 주는 일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기사란 글로 사실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라는 기존 생각에 많은 변화를 주었습니다. 기사가 만들어지는 모든 과정을 살펴보면 미국 언론사는 철저히 독자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책을 읽으며 미국 언론계에서 기사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고, 각 기사들 하나 하나가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사람들과 협업을 통해 완성된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_미국 언론사들은 디지털 뉴스 제작에 있어서 굉장히 실험적이다. 눈이 휘둥그레질 만큼 생소하고 파격적으로 제작한다는 뜻이 아니라, 끊임없이 시도를 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더 나은 모델을 만들어나간다는 것이다. 가설을 세우고 피드백을 받아 다시 만들며 발전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371 page)_ [탁월한 스토리텔링]을 읽으며, 미국 언론계가 전문성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알 수 있었고, 두 작가가 미국 언론계에 매력을 느낀 이유를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무조건 미국 언론계의 방법은 우수하고, 한국 언론계의 방법은 좋지 않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서로의 장점은 벤치마케팅하여 우수한 점은 배우고, 문제점들은 미리 예측해보고 예방함으로써 발전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