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똑똑함의 숭배 - 엘리트주의는 어떻게 사회를 실패로 이끄는가
크리스토퍼 헤이즈 지음, 한진영 옮김 / 갈라파고스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능력주의라는 것에 대한 비판서적이라는 점에 대해 흥미롭습니다. 오늘날의 사회에서 절대 의심할 수 없는 것 중 아라가 능력주의라도 생각하는데 저자가 능력주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비판하는지 그리고 대안은 무엇인지 기대가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S 다큐프라임 민주주의
EBS 다큐프라임 <민주주의> 제작팀.유규오 지음 / 후마니타스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 헌법 제 1장 1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헌법에 적시된 다른 조항들은 몰라도 1조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사회가 국민 한 사람한 사람을 주권자로 인식하고 있는 환경에선이와 같은 조항은 잘 느껴지지 않는 공기와 같을 것이다하지만 독재의 기운이 다시금 술렁대고 있을 때는이야기가 다르다헌법 1조에 저항하는 취지의 일이 계속 벌어진다면 국민들은 물에 빠진 사람이 공기를 찾는 것처럼 발버둥을 치며 저항할 것 이다. 2016년 연말은 비로소 대한민국 국민들이 다시 한 번 주권자임을 깨닫는 한 해였다제대로 국민들의 마음을 읽지 못하는 정치권에 대한 국민들의 몸짓은 그 어떤 것에도 비유할 수 없을 만큼 강렬했다.

국민으로서의 재인식에 대한 기쁨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안타까운 사실은 주권자들에게 도전했던 문제의 수준이 한참 떨어졌다는 것이다그 문제는 21세기 들어서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독재라는 과거의 퇴물이며이 퇴물을 유산이라고 떠받드는 사람들 이었다오늘날의 국민들이 맞서 싸워야 하는 존재는 독재 같은 고대 퇴물이 아니라 현재 민주주주의에 위협을 가하는 존재이어야 한다.

민주주의는 국민(혹은 시민)이 동의한 것을 바탕으로 국가가 운영되는 시스템이다외부 환경이 변하면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도 준비를 하듯민주주의를 둘러싼 환경이 변화하면 민주주의 또한 그에 걸맞게 변한다과거 독제에 맞서 시민들이 거리로 나왔다면이제는 다른 이유와 다른 슬로건으로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것에 대하여 저항해야 한다민주주의란 대전제 아래에서 민주주의 바깥으로부터 오는 새로운 질문에 대한새로운 해결방안을 만들어야 한다후마니타스에서 나온 <민주주의>는 오늘날 우리의 민주주의를 둘러싼 환경이 어떻게 변했는지 알려주는 책이다단순히 민주주의만을 골이 타분하게 파헤치는 것이 아니라민주주의가 무엇이고현 시대에 민주주의를 둘러싼 환경이 어떻게 변화했는지현재 우리의 민주주의에 위협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려준다민주주의에 대한 수 많은 책들이 민주주의의 본질만을 다룬 것에 비해 이 책은 민주주의를 상호작용하는 주체적인 시스템으로 간주해 보고 있다또한, EBS다큐프라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책이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