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아시아 제47호 2017.겨울 - 이 사람 An Asian Profile : 한국 근대 최초의 여성 소설가 - 나쁜 피
아시아 편집부 지음 / 도서출판 아시아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유럽이나 북아메리카 그리고 넓게 봐서 오세아니아를 제외한 대륙들은 나름 아픔을 갖고 있다모드 유럽에 있는 국가들에게 착취를 당한 경험이다대항해시대 이후 유럽의 기술력에 뒤쳐져 유럽인들의 노예농장시장공장 등으로 됐다어떠한 면에서 식민지가 사라진 오늘날에도 딱히 변한 것은 없는 것 같기도 하다국가가 대대적으로 한 나라를 자신의 권력아래에 두진 않지만다국적 기업이라는 존재는 여전히 대놓고 식민지였던 나라들의 노동자들을 착취하고 있기 때문이다어떤 나라에서는 반도체 공정을 하다가 푹푹 쓰러지고어떤 나라에서는 아이들의 노동력이 착취되며어떤 나라에서는 아직도 주민들과의 상의도 없이 숲이 베어진다유럽 혹은 북아메리카와 대륙의 다국적회사들에게 착취를 당하는 것은 아프라카아시아 그리고 남아메리카가 모두 같은 상황인 것 같지만잘 들여다보면 미세한 차이점 하나 정도는 있다.


아시아는 옛날부터 많은 국가들이 계속 세워지고 무너지길 반복했고한 때는 가장 문명이 발달하기도 했다아프라카나 남아메리카와 다르게 나름의 발달된 문명을 가지고 있었고그것이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갖고 있었던 땅이었다그리고 이러한 문명들은 어느 순간 교류가 끊기고중앙에 의해 통제되면서 그 성장을 멈췄다오직 모든 것을 받아들인 일본만이 현재의 패권국가가 됐다.


아마 아시아가 폐쇄적인 대륙이 된 이유에는 단순히 다른 지역의 기술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 만은 있지는 않았을 것이다특정 나라의 노래특정 나라의 시특정 나라의 소설특정 나라의 사상 등사람들의 감성을 미묘하게 건드릴 수 있는 것부터 막고그러한 이를 토대로 다른 나라들의 기술과 물질들을 모두 배척해야 한다는 전략을 만들지 않았을까 싶다이것은 오래된 전략이기도 하고매번 새로운 모습으로 재등장하는 전략이기도 하다아시아 전체를 망하게 만들었던 이러한 생각은 그로부터 수 백 년이 흐른 후우리나라에서 문화계 예술인 블랙리스트로 부활 아닌 부활을 맞기도 했으니까 말이다물론대상은 서양인이 아닌 국내 좌파단체이긴 했지만 말이다.


그런 점에서 문학 작품이 퍼져 나간다는 것을 막는다는 것은 매우 후천적이고 인류 문명의 진보를 막는 행위이다그리고 반대로 문학 작품이 퍼져나가게 만드는 것은 매우 진보적인 행위이고인류 문명을 발전시키는 행위다.


나는 계간 아시아를 읽으며 이런 생각이 들었다멀리 떨어져 있는그리고 알지도 못하는 언어로 소통하는 사람들과이러한 잡지 한 권을 통해 이야기를 듣는 것은 그 나라에서 펼쳐지고 있는 사건을 피상적인 뉴스로만 읽는 게 아니라 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라고그래서 너무나 좋았다거대의 진솔한 스토리가이 책 한권을 통해 이어진다는 게 말이다. 인류의 진보를 느슨하게 그리고 미묘하게 경험한다는 생각이 드는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