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이 일상으로 오기까지 - 공학 없이는 발명도 발전도 없다! 한 번에 이해하는 단숨 지식 시리즈 3
마이클 맥레이.조너선 베를리너 지음, 김수환 옮김 / 하이픈 / 202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공부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나는 내가 이 공부를 해서 뭘 설계하게 될지 구체적으로 떠오르지가 않았다. 얄팍한 직선으로 만들어진 이 작은 회로도가 현실에서는 어떻게 구연되는지. 나아가 내가 계산한 값대로 현실은 작동하는 것인지. 나는 잘 몰랐다.

수업시간의 일 이었다. 교수님에게 이런 질문을 했던 적이 있다. “1c(쿨롱)의 값은 어떠한 방법으로 계산이 된건가요? 그리고 그것의 진정한 물리학적 의미는 무엇인가요?” 전자기학1 시간에 1쿨롱이란 단위는 수없이 등장했다. 그리고 대학생들은 그 1c을 가전 전하가 특정한 굴기의 전선을 통과할 때, 틍전한 면을 갖고 있는 것을 지날 때. 그리고 특정한 거리에 있을 때 전자기력을 계산했다. 하지만 누구도 그 1c이 어떻게 된 것이고, 어떻게 계산된 것이었는지 아는 사람들은 없었다. 물론 1c이란 것의 물리학적 정의가 시험에 나올 일은 만무했다. 하지만 1c이란 것이 현실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관측됐는지도 모른 채, 그것이 있다고 가정하고 현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계산하는 것은 너무나도 허무한 짓거리 아닌가? 가장 기본적인 전재가 풀리지 않았는데, 그것을 아무리 스펙타클하게 계산한들, 그 가벼워 보이는 문제가 달라진다면 모든 것은 허상이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때부터 였을 것이다. 아니 어쩌면 1c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나는 전자공학이란 학문에 회의감을 갖기 시작했다. 수학적 기술을 통해서 수없이 계산은 했지만 도대체 그러한 것들이 현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려주는 교수님은 단 1명 밖에 없었다. 그것도 학교에서 가장 바쁜 교무처장을 역임하고 계신 교수님이었다. 그리고 그 1과목을 제외하면 학생들에게 호기심을 불어 넣는 교수님은 없었다. 그랬다.

이번에 읽은 책 <공학이 일상으로 오기까지>는 여러 공학이 어떻게 고민됐고 나아가 어떻게 우리 일상에서 적용되는 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물론, 이 책에 세세한 물리학적 원인에 대해 이야기 하지 않는다. 시스템이라고나 해야 할까. 아니면 청사진이라고 해야 할까. 나는 과거 단순히 대체에너지에 이끌려 전기공학에 갔지만, 그것은 어떻게 보면 단순한 것이었고, 이 책을 통해서 나는 뭐랄까. 특정한 공학들이 현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 것 같다. 단순히 화려한 수식의 나열이 아니라 정말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