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이 몰려온다 - 높아지는 해수면, 가라앉는 도시, 그리고 문명 세계의 대전환
제프 구델 지음, 박중서 옮김 / 북트리거 / 2021년 11월
평점 :

물이 온다. 하지만 우리는 이 물에 대해 어떻게 생각을하고 있나. 단순히 우리가 이사를 가면 될 일인가? 몽골이란 나라는 과연 이와 같은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니 좋은 것일까? 우리나라는 얼마나 물에 잠길까. 이런 등등의 생각을 하지 모르겠다. 그런데 해수면 상승의 효과는 과연 이토록 간단할가. 지구상의 2/3을 차지하고 있는 물이 그 비중이 늘어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
나는 과거이 딱 이정도로만 생각을 했다. 특하 물이 늘어난다는 것은 빙하가 높고 지구 전체가 기후가 원만해 지는 것이기에 어떻게 보면 좋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돌아가는 판을 보니 전혀 그렇지 않다.
이 책을 읽기 전에 몇몇권의 책을 읽은 적이 있다. 기후온난화라는 것은 그리 간단한 맥락의 것이 아니다. 모든 위기가 그럴테지만, 모든 위기는 모든 사람들을 똑같이 힘들게 만들지 않는다. 현재의 지구 온난화의 맥락에서 한국인들은 그저 여름이 길고 겨울이 길고, 봄과 가을이 짧아진 것. 그리고 여름이 엄청 더워지고 겨울이 다소 따뜻해진 것을 느낀다. 물론 가끔가다 제트기류가 남하하는 바람에 북극의 차가운 한파를 그대로 맞아야 하는 일 또한 있다. 하지만 현재의 맥락 속에서도 저위도 지방에 살고있는 가난한 나라들은 엄청난 피해를 받는다. 우리 집만 하더라도 농사를 짓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기도 한다.
이 책은 기후 불평등의 문제도 다룬다. 기존 해수면이 상승했을 때 이제는 우리는 <기생충>의 한 장면을 현실에서 보게 될 것이다. 상류층은 높은 산에 집을 짓고 차로 세상으로 내려온다. 반면에 가난한 사람들은 비가 내리면 잠기는 곳에 살면서, 삶을 위해 노예처럼 상류층이 사는 곳으로 출퇴근을 한다.
지구 온난화라는 것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해수면 상승의 문제점을 이 책 보다 입체적으로 설명한 책이 있을까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