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인폭스 갬빗 - 나인폭스 갬빗 3부작
이윤하 지음, 조호근 옮김 / 허블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다가 이런 소설이 나왔을까. 솔직히 내가 이 소설을 완전히 이해했는지 가물가물하다. 하지만 이것 하나는 분명하다. 겁나 특이하다는 것!

소설에도 트렌드라는 것이 있다고 생각을 한다. ! 나는 별로 소설을 그렇기 많이 읽지 않으니, 과거에 많이 읽었던 라이트 노벨로 예를 한번 들어보겠다. 대개 라이트노벨의 주인공들은 이세계로 가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한 것들이 상당히 정형화 돼 있다. 가령, 동전을 줍는다든가, 갑작스런 사고로 인해 이세계로 날아간다든가, 갑자기 평소처럼 살고 있는데, 이세계로 날아간다든가 등등등. 평범한 남성이 이세계로 날아가는 몇 가지의 경우, 그리고 이 세계에서의 갖게 되는 능력 등이 상당히 정형화 돼 있고, 이 안에서 부분적으로 차이나는 것들이 적지 않았다.

솔직히 SF소설이란 것을 볼 때도 간혹 그러한 것들을 많이 느꼈다. 배경은 솔직히 거기서 거기인 것들이 많았고, 그 안에서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모습 또한 대개는 천편일률적인 것들이었다. 배경을 특별하게 깔아 놓았으니, 그 특이한 배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했기에, 대개 소설의 이야기란 세계관을 따라 흘러갔다. 김초엽 작가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있다면>이 특이했던 이유는, 솔직히 그 배경적인 것들은 과거의 여느 소설과 그렇게 다르지 않았지만, 그 안에서의 이야기가 상당히 차별성 있었다는 것 이었다. 여성의 이야기, 소수자의 이야기 등, 기본적으로 차별성을 갖고 있는 이야기에 SF적 상상력을 덫잎인 것들이 김초엽의 작품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읽은 <나인폭스 갬빗>이 주는 즐거움이란, 김초엽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것 이었다. 물론, 다른 SF소설과도 마찬가지다. 어떻게 보면 이 소설은 마치 <헝거 게임>과 비슷한 세계관을 취하고 있는 점이 있다. 어찌 보면 스페이스 오페라 + <헝거 게임>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물론 표면적으로는 이렇게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7개였던 분파에서 하나가 다른 역법을 사용해 사라지고, 6분파만 일단은 남게 된 세계관이니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의 특이한 점은 갈등의 주제가 되는 소재가 단순히 정치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 책의 갈등의 중심은 어떻게 보면 문화로서의 과학이다. 솔직히 문화로서의 과학을 주제로 한 책이 없었기에, 나 또한 이렇게 이야기 하는게 상당히 어색하기도 하고, 또 단순히 해당 문제를 일반 소설로 쓴 게 아니라, SF소설로 썼다는 점에서.. ...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문화로서의 과학이란, 예를들면 하나의 자연 현상을 두고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 간에 다른 해석체계 혹은 체계화된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 또한 동아시아 출판사의 게시물을 통해서 온전히 이해할 수 있게 됐으나) 똑같은 1년을 두고 우리나라처럼 태음태양력으로 읽거나, 서양처럼 그레고리력으로 읽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 하나의 자연 현상에 대해서 문화가 다르기에 그 현상을 바라보는 해석이 온전히 다르다는 것이다. 물론, 진작 문화로서의 과학에 대해 내가 몰랐던 것은 아니지만, 나는 이것을 이야기로 전환시킬 수 있을만한 여지가 있다는 것을, 나는 이번 <나인폭스 갬빗>을 보며 처음 알게 됐다. 아니, 어쩌면 이는 없었던 가능성을 만든 것일지도 모르겠다. 최초의 선례로도 볼 수 있지 않을까. 단순히 놀랐다기 보다, 기존에 다뤄지지 않았던 것을 다뤘다는 것만이 아니라, 수많은 문화로서의 과학을 이야기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나는 이 소설을 높이 평가하고 싶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솔직히 한가지 아쉬운 점은, 세계관이 너무 스타워즈 급이다보니, 내용에 대한 장악이 어렵다는 것이다. 일반 시민들이 생각해 보지 못했던, 그러니까 직관적으로 볼 수 없는 과학의 한 형태가 등장하고, 이것을 서사화 했고, 또 이해관계가 얽힌 소설이다보니,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스 오페라가 왜 어려운 소설인지 이번 기회에 충분히 느꼈다고나 할까. 나 또한, 이 책을 읽은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고, 나의 뇌 용량을 한참 뛰어넘는 복잡한 서사와, 복잡한 이해 그리고 처음 접하는 세계관으로 인해 과부화를 느껴야 했다. 하지만, 당신이 한번 온전히 새로운 류의 SF소설이 아니라, 소설 자체를 읽고 싶다면, 나는 이 책 <나인폭스 갬빗>을 꼭 권해보고 싶다. 부디 당신의 뇌에게 안녕을 빌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