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들 - 온라인 ‘관종’은 어떻게 TV를 뒤흔들고 새로운 스타 계급이 되었나
크리스 스토클-워커 지음, 엄창호 옮김 / 미래의창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이런 책을 읽고 싶었다유튜브는 더 이상 단순한 플랫폼이 아니다한 사람의 일과가 만들어지는 곳사람들은 유튜브에 종속됐다고 해도 되지 않을까인류를 종속시킨 플랫폼들은 여럿 있었다멀게는 중세의 성당이 그런 미디어의 역할을 했을지 모르겠다글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벽에 그림을 그리고창문에 그림을 그려서 성경의 말씀을 전하는 것 말이다글 또한 마찬가지일 것이다신문이 만들어지고 많은 사람들은 문자를 통해서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을 알게 됐다물론 그 다음은 TV 그리고 라디오의 전성시대였다하지만 이전까지의 어떤 매체도 이 유튜브만한 것이 없다사람들이 동영상에 끌리는 것은 가장 풍부한 정보성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하지만 그런 풍부한 정보성을 소비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물리적인 부담이 동반된다상상을 해보라당신이 출퇴근할 때, tv에서 나오는 프로그램이 보고 싶다고 하여 휴대용 tv가 있다면 들고 다닐 것인가그 부피가 큰 것을 말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시대 도래와 함께생긴 유튜브는 가히 혁신적이다정보 소비의 부담을 스마트폰은 완전히 없애 버렸다정보를 압축하는 데 있어 인류의 상상력이 최종적으로 다달한 곳이 아마 스마트폰이 아닐까 싶을 정도다또한 유튜브에서는 자신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늘 고를 수 있다. TV에서는 편성한 것 외에는 볼 수 없다면유튜브는 자신이 원하는 곳이다유튜브란 공간은 이처럼 혁신적인 것이다.

 

유튜버들이란?

 

나는 유튜브란 공간을 콜로세움이라고 생각한다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전면 승부를 벌이는 공간 말이다한 사람이 혹은 한 팀이 대중을 상대할 만한 콘텐츠를 만드는데 있어어떠한 제한도 없고(물론 노란 딱지가 있긴 하다), 모든 콘텐츠의 가능성이 열린 곳그곳이 바로 유튜브다그래서 궁금했다도대체 해당 유튜브란 생태계를 움직이는 것은 무엇인지 말이다.

어느 때인가부터나는 유튜브에서 적지 않은 광고를 의무적(?)으로 봐야 했다내가 클릭한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해서는 말이다가지각색의 광고들이 올라오고나는 그것을 바로 스킵하지 못하고 5초 혹은 15초나 봤어야 했다또한 유튜브에서는 이런 불편(? 자기네들이 만든 거면서)을 위해서 프리미엄 서비스도 시작을 했다정말 나도 이 것을 한번 사용해보고 싶지만취준생이라 못하고 있다하지만 주변 사람들 중에는 이런 광고들이 싫어서 적지 않게 프리미엄 서비스를 구매하고 있다.

하지만 유튜브 문제에 있어 중요한 것은 광고의 패러다임을 바꿔 놓았다는 점도 중요하지만그곳에서 만들어지는 콘텐츠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단순히 사람들이 아무 콘텐츠나 그곳에 던져 넣는나 한들그것이 높은 조회수를 통해서 돈으로 돌아온다는 보장이 없었다또한 비용을 많이 투입한 콘텐츠인들그것이 시민들의 본능에 충실하지 않는다면혹은 시민들에게 적당한 자극을 주지 못한다면큰 방향을 일으키지 않을지 모른다.

이 책에서 알 수 있는 것들은 바로 이러한 것들이었다유튜브란 생태계에서 단순히 돈을 벌었던 사례들면 나열한 것도혹은 유튜브에서 벌어지는 문제들을 다루기만 한 것도 아니다이 책은 유튜브란 공간을 다양하게 조명함으로 인해서사람들이 유튜브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유튜브란 공간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했다또한 이 책의 재목은 유튜브가 아닌 유튜버다그런 점에서 유튜버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어떻게 보면 사회학적 책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한번도 유튜브와 관련된 책을 읽을 줄 몰랐지만이번 기회에 그 곳의 생리와 이해 그리고 생태계의 다면성에 대해서 알 수 있었던 기회였던 것 같다단순히 한 플랫폼의 특징이 아니라그 안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통해서하나의 엔터네인먼트 사업의 속사정에 대해서 볼 수 있었던 책이 바로 이 책 <유튜버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