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극이 부른다 - 해양과학자의 남극 해저 탐사기
박숭현 지음 / 동아시아 / 2020년 7월
평점 :
정보는 때론 편향만을 강화시키며, 진정한 앎 추구에 방해물이 될 수 있다.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편향을 더욱 강하게 자극할 뿐, 입체적인 정보를 주지 못할 대 이 같은 현상은 일어난다.
남극에 대한 정보 또한 마찬가지다. 사실 고등학교 때 지구과학1에서 나온 남극을 제외하고는 나는 남극에 대해 잘 모른다. 여러 정보들을 적당히 섞어놓은 공부가 고등학교 과학 공부다. 어느 한 분야에 대한 집요한 탐구 대신, 학생들이 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 도움닫기를 하기 위한 차원에서 만든 도구가 고등학교 지구과학1이다. 당시 남극에 대한 이미지는 남극에서 발견된 화석이나, 지구온난화를 알려주는 지표로서 사용된 퇴적된 눈에 관한 이야기말고는 들은 일이 없었다. 아! 물론 지구과학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들 또한 마찬가지일지 모른다. 일반 대중들에게 남극은 그저 얼어붙은 대륙이다. 조용한. 그리고 그 안에서 유일하게 역동성을 찾을 수 있는 생물은 대개 펭귄뿐이다. 남극의 펭귄 혹은 빙하 외에는 딱히 사람들이 남극에 대한 관심을 갖지 않는다. 남근은 드넓지만, 인간의 관심을 끌기에는 한없이 낯선 곳이다.
남극, 그 미스테리한 대륙
이 책 <남극이 부른다>를 읽으면서, 펭귄 혹은 빙하만 알고 있는 것이 반대로 내가 남극을 얼마나 모르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이 책 <남극이 부른다>의 저자 박승현 씨는 과학자다. 지질을 연구하는 사람이며, 남극 또한 탐구목적으로 갔다 온 것이다. 단순히 한번 갔다온 남극의 이모저모를 이 책에 실은 게 아니라, 수 십번 남극을 왕래하며, 남극에 대한 자신의 다체롭고 입체적인 이해를 이 책 한 권에 담고 있다.
이 책은 어떻게 보면 단순한 기행문이다. 하지만 인터넷을 뒤져보면 다 알게 되는 곳을 저가가 방문한 것이기에, 뻔한 기행문들과는 차원이 다르다. 또한, 저자가 향한 곳인 우리 지구에서 개발이 되지 않은 ‘외계의 땅’과 같은 남극이기에, 그 특별함은 더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남극이란 대륙에는 한 국가의 것이 아니다. 유일하게 사람에 의해 완전히 점령되지 않은 곳이다. 그곳을 점령한들 실용적인 지배(?) 또한 아직은 힘들 것이라 생각한다.
일단 저자가 탐험을 한 곳 남극은, 우리가 모두 아는 일반적인 교통수단으로 갈 수 없는 곳이다. 누군가는 자신의 탐험기 혹은 여행기를 이야기하면서, 자신이 특정 목적지에 어떻게 도착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분량을 할애할 수 없을 것이다. 왜? 자신은 가만히 있돼, 움직이는 것은 교통수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남극이란 곳에 가기 위한 여정은 좀 다른 것 같다. 크루즈 선도 아닌, 특수한 목적을 띠고 있는 배라는 곳에 오랫동안 갇혀(?) 지내야 하기 때문에, 그 안에서의 삶 자체가 여행이고 탐사다. 남극에 가기 위한 저자의 발걸음 하나하나 그리고 그곳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들이 모두 여행의 한 조각들이라는 것이다.
또한, <남극이 부른다>의 백미는 저자가 남극에서 무엇을 탐험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앞에서도 이야기 한 것처럼, 일반인들에게 자극을 줄 수 있는 것은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빙하고 녹고 있다는 사실, 펭귄 무리의 일거수 일투족과 같은 것들이다. 그 외에는 북극과 다른 오로라와 같은 것들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가 이곳에서 보여주는 남극의 모습들은 다양하다. 남극에 서식하는 다양한 조류의 모습과, 그 안에서는 어떠한 생태계가 만들어져 있는지 알려준다. 또한, 어름으로 뒤덮인 땅 아래에는 어떠한 환경이 있는지, 저자는 책을 통해 보여준다. 남극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다양한 생태계 그리고 지질의 세계들을, 다체롭게 보여주면서, 남극이 단순히 얼음으로 꽁꽁 얼어붙은 폐쇄적인 공간이 아닌, 어떻게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일부분이란 것을 이 책은 말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