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의 오단계 SF가 우릴 지켜줄 거야 2
이루카 지음 / 허블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시지가 이야기를 앞설 때...

 

종종 SNS에서 가오가 몸을 지배할 때라는 짤들을 보면 현웃이 터졌다. 가오를 잡기위해서 방독면도 쓰지 않고 가스실에 들어가는 사람처럼, 아무리 봐도 무리한 행동인데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상을 추구하기 위해서 무리수를 두는 행동을 말이다. 오늘 본 책 <독립의 오단계>는 남자의 시선에서 보자면 그럴수도 있고, 또 여성이 시선으로 보면 그렇지 않을수도 있는 소설이다.

SF소설 책은 이번이 두 번째였다. 첫 번재 소설책과의 만남은 김초엽 작가가 쓴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있다면>이었다. 김 작가의 책을 읽을 때, 솔직히 이야기하면 환상적인 여행을 한 것 같았다. 끊임없이 넚어지는 이야기의 세계관, SF라는 것을 단순히 하나의 소재로만 활용한 게 아닌, SF에 관한 세계관을 계속 끌고와서, 재미있는 이야기만이 아니라, 작은 이야기속의 세계관을 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전에 내가 쓴 김 작가의 소설을 보면 이런 것들이 잘 드러나 있다. 다만, 당시 소설을 읽을 때 다소 불만이 있었다면, 김 작가가 금수저처럼 보여서 가난한 여성을 다룬 작품들이 소설 속에는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 이었다. 디스토피아 혹은 유토피아아의 모습을 보는 여성들은 대개 선택받은 여성들이었다. 그런 부스러기 같은 불만을 잡아내는 것을 제외하고는, 김 작가 소설의 주인공들이 여자인 것은 대수롭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 읽은 책 <독립의 오단계>는 남성 입장에서 이 책을 읽었을 때, 나는 가고아 몸을 지배할 때의 소설 버전이라고 생각했다. ! 이것을 바꿔 말하면 메시지가 이야기를 앞설 때라고 이야기하는 게 좋을지 모르겠다.

 

이루카의 3개의 단편소설

 

첫 번째 작품은 그거려니 하고 읽었던 것 같다(아무리 생각해도 내가 처음으로 읽었던 SF소설이 김초엽의 작품이라서 그런지..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서 보는 것 같다. 처음부터 너무나도 객관적으로 다른 소설들에게는 너무 높은 디폴드 값을 정한 게 아닌지 싶다). 가혜라의 자식이기에 자유롭지 못했던 가재민의 문제는, 솔직히 현실 속 금수저의 자식들과 비교해봐도 딱히 다르지는 않을 것 같다. 나는 A796을 폐기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놓고 벌어진 활극도 재미있었다. 특히, 미래가 도래했을 때 정말로 논쟁적일지 모를 인공지능을 사람과 같이 대하느냐 마느냐에 대한 것은 정말로 흥미로웠다(물론, 해당 재판을 보면서도 가혜라의 입장을 전적으로 옹호했다. 가혜라가 좋아서라기보다, 인공지능을 사람으로 인정하는 것 자체가 뭔가 실제로 디스토피아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비록, 나는 저자가 해당 소설을 통해서 던지는 메시지에 동의를 하지 못하지만 나름 재미있게 읽었다.

<새벽의 은빛 늑대>도 나름 괜찮았던 작품이다. 이 책의 뒷부분에 작가의 말을 보면 저자 또한 바이크를 타는 사람으로 보이기에, 적당히 현실적 상황과 잘 버무려서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특히, 마지막 은빛 늑대’(ㅋㅋㅋ. 사실 엄청 유치한 작명이긴 하다. 남자들이 이렇게 이름을 만들었다면, 여성들의 비웃을을 받았을지 모르겠다)들이 경기장을 빌려 바이크를 타는 이야기는 마치, 영화 <매드맥스>에 나왔던 할머니들이 저절로 떠올랐던 것 같다. 영화에서는 몇 명의 할머니들밖에 살아남지 못했던 것이 마음 아팠었던 것 같은데, <새벽의 은빛 늑대>를 보면서 약한의 힐링을 받았다고나 할까.

문제는 마지막 작품이었다. 솔직히 기대가 큰 만큼 실망도 큰 점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루나벤더의 귀가>. 키야~~ 얼마나 좋은 소설의 제목인가 싶었는데, 3작품중에서 가장 형편없었던 게 이 작품이었다는 생각이다. 앞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메시지가 이야기를 앞선 작품이 이 작품이었던 것 같다. 왜 문보라, 백진주, 고유리는 자신들을 가족이라 칭했을까. 왜 게임상에서는 유저들에게 자매라는 이름이 나왔을까. 좋다.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 나 또한 피를 나눈 사람들끼리만 가족이 되라는 법은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에는 이 세명이 가족이라고 느낄 수 있을만한 정보가 상당히 부족하다. 문보라와 고유리의 관계는 이해할 수 있어도(그러나 솔직히 고유리의 과거를 설명할 때 왜 악몽 같던 결혼 생활이란 텍스트는 왜 고유리에 대한 배경설명을 하면서 나오는지 이해가 가지 않았다), 백진주가 등장한 것은 그야말로 갑툭튀였다. 또한, 서로를 이해하는 친구로 설정을 하면 될 것을 가족이란 것을 강조하는 모습은 마치, 여성 부족주의를 연상케 했다. ! 물론, 이 소설에서 언급된 백진주를 도와주기 위해서 유저들이 루루골드를 보낸 것 또한 그랬다.

물론 나는 이 소설을 선입견을 쓰고 본 것 같다. 없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이 소설은 김초엽의 작품처럼 내 선입견을 사뿐히 즈려밟고 갈 정도로 뛰어난 작품도 아닌 게 사실이니. SF라는 세계관의 확장은 전혀 없었다. 3소설 전반에 걸쳐서. 정해진 세계관 안에서, 특정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 상황과 적절히 섞었을 뿐이랄까. 또한, 그 메시지 특별히 3번째 소설이 그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소설을 읽으면서, “적어도 글이란 이렇게 써야하는 것이구나(글빨 있다)”스토리를 만들고는 있구나!”와 같은 생각은 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