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상의 무기가 되는 논리 수업 - 세상의 교묘한 말들로부터 나를 지키는 61가지 논리 도구들
마이클 위디 지음, 한지영 옮김, 헨리 장 추천 / 반니 / 2020년 6월
평점 :

일상의 무기가 되는 논리수업! 이란 책의 제목을 딱 봤을 때 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논리는 그다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사람들이 움직이는 것은 논리보다 선동이다. 논리적 오류가 많은 특정한 상황을 논리적인 것처럼 보이게 하고, 또한 이러한 방식의 합리화를 통해서 사람들을 선동한다. 논리란 것은 어떻게 보면 우리 일상에서 그리 쓸만한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내가 이 책 <일상의 무기가 되는 논리 수업>을 시킨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이 책을 일상과는 괴리된 곳을 관찰한는데 있어 이 책을 이용하고 싶기 때문이다. 나는 기자가 되고 싶다. 기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이 하는 주장에 대하여 논리적 맹점을 파고 들어야 한다. 하지만 기자들이라고 하여 나는 그들이 상당히 논리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어쩌면 기자와 언론은 사람들이 비논리적으로 움직이게 하는데 전문적인 조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그런 사람들이 되고 싶지는 않다. 아마 그것은 이상일지 모르겠다. 내가 논리적으로 글을 쓰고, 사람들 또한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것. 하지만 나는 내 기대가 실현되기를 바라기 위해 이 책 <논리 수업>을 읽었다.
논리 수업
솔직히 나는 이 책에 나와있는 ‘응수하는 법’에는 별 기대가 없었다. 아니, 어저면 나는 해당 페이지에 들어갈 수 있는 레벨이 스스로 아니라고 생각했다. 책을 읽는 내내 내가 가장 흥미로워 했던 부분은, 오류의 종류와, 논리적 허점이었다. ‘응수하는 법’ 이전에 나는 어떤 오류가 있는지 잘 알지 못한다. 또는 논리적 오류가 있다고 누군가가 지적한들 나는 해당 부분의 논리적 허점을 스스로 깨달을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가장 중요한 부분. 내가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부터 인지하기 위해 나는 이 책을 들었다.
이 책에서 읽었던 것 중에 가장 인상깊었던 논리 문제는 아마도 허수아비 죽이기 였다. 예전에 글을 쓰면서 해당 문제는 이미 지적받은 바 있었다. 하지만 가령 예를 들면, 아무도 내가 지적한 문제가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데, 나만 혼자서 해당 문제가 위험하다고 여겨셔 나는 이것을 해결했으니, 잘한 것이다 라고 하는 것. 이런 게 허수아비 죽이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문제에 대한 인지를 나는 좀처럼 하지 못한채 매번 억울해할 허수아비들만 수 없이 죽였다. 허수아비 죽이기에 대하여 일반화된 논리적 문제를 지적받은 것. 그것이 내가 이 책을 읽으며 첫 번째로 느꼈던 보람이라면 보람일 것이다.
이 책 <논리 수업>은 긴 책은 아니다. 또한 해당 논리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안 또한 그렇게 폭넓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이 책은 가볍게 우리가 일상(?)에서 겪게되는 다양한 논리적 오류에 대해서 가볍게 터치하며 깨달을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철학과 출신이다. 무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철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치열한 논리적 쟁의를 통해서 순수한 진리에 도달하려는 과정이 얼마나 어려운지. 이 책에 있는 61개의 오류가 설명해주는 듯 하다.
비록 얇은 책이기에 아쉽기는 하지만, 그래서 더 자주 봐야하는 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