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은 내가 우울증인 걸 알고 있다 - 글로벌 리더 기업의 인공지능 성공 스토리 50
버나드 마.매트 워드 지음, 홍지수 옮김 / 봄빛서원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아이티 기업들이. 아니 모든 기업들이 소비자들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그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만 우리의 앎이란 것은 언제나 그렇게 순수하지도 혹은 그렇게 날카롭지도 않다. 우리의 앎은 마치 거품처럼 우리가 수많은 것을 아는것처롬 느끼기는 하면서 기본적으로 그 안에 든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전혀 알지 못하게 만든다. 마치 우리가 모든 기업들이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패턴을 분석하고 있다는 것을 시민들에게 홍보는 하지만, 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모으고, 또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는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 이 책 <페이스북은 내가 우울증인 걸 알고 있다>의 이야기는 우리가 그동안 알고 있었다고 착각하는 혹은 우리가 전체를 알고 있는 듯한 착각을 하게 만든 데이터 기술의 본질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는 책이다.

 

페이스북은 어떻게??

 

세계 도처에서 수많은 상품들을 판매하는 수많은 매장들이 있으므로 수 천 개의 매장에 재료들을 구비해놓고 고객들에게 제품을 서비스할 준비를 갖추려면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다. 조금만 계산을 잘못해도 운송과 보관 같은 물류에 과도한 지출을 하게 된다. 스타벅스처럼 거대하고 매장들이 널리 분포되어 있는 기업 에게는 아주 사소한 비효율성도 금방 엄청난 비용으로 늘어난다. - 123pp

 

첨단기술은 사람들의 삶르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바깥 세상과 잘 연결되면 사업과 교육의 기회를 확대시키고 전기 수도 및 운송설과 같은 필수적인 공공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기획하고 집행할 수 있다. - 179pp

 

우버는 기다리는 승객에게 운전사를 배정하고, 승객을 목적지까지 가장 효율적으로 데려다줄 경로를 탐색하는 등 핵심적인 업무에 인공지능을 이용한다.

인공지능은 우버의 할증 가격 책정모델도 실행하는데, 수요가 높을 때 택시비를 인상해 더 많은 운전다들이 운행에 참여하도록 해서 고객이 기다린느 시간을 줄이는 기능이다. -245pp

 

나이브했다. 나 자신이 인공지능에 이제껏 생각했던 것 말이다. 그동안 이력서에 인공지능을 썼을 때 상당하 나이브하게 썼던 게 아닌기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내가 알고 있는 인공지능이라고 하면 그냥 페이스북이나 유튜브에 내가 좋아하는 대고 알고리즘이 짜져서 내가 원하는 광고 혹은 콘텐츠만 보게 만드는 것만 알고 있었는데, 이미 우리 인류 지식의 최전선에 있는 기업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아주 원초적인 단계에서부터 다들 사용하고 있었다.

단순히 소비자들의 패턴을 분석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람을 쓰는 노동력을 줄이는 부분 혹은 사람의 계산이 틀릴 수 있는 부분, 인간보다 컴퓨터가 유능하게 할 수 있는 부분 등. 온갖 부분에 인공지능 기능을 넣어서 사람들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최대화 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뭐랄까.

 

솔직히 이 책을 보는 내내 두 가지 생각이 들었다. 이런식으로 계속해서 노동력이 대체된다면 도대체 그냥 교육받지 못한 인간들이 할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 하는 생각과, 꼭 이와 같은 기술의 혜택을 누리고 싶다는 생각. 나는 어느 쪽의 인생을 살게 될까. 이 책이 던지는 질문이기도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