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지옥
마츠바라 준코 지음, 신찬 옮김 / 동아엠앤비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어른들에게 하는 인사말 중 무병장수는 분명히 좋은 뜻으로 쓰였던 때가 있었다하지만 이제는 무병만이 좋은 인사말이지 않나 싶다그리고 무장장수에서 장수가 바진 이유에는 바로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 책 <장수지옥>은 사회 기반이 제대로 받쳐주지 않는 상태에서 장수가 지옥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책이다어쩌면 이 책의 걱정은 이미 부분적으로는 현실이기도 하고우리의 미래이기도 하다일본은 제법 사회 인프라가 우리나라보다 잘 갖추어진 나라다하지만 그 나라에서 벌써 장수를 지옥으로 걱정한다는 것은우리나라 또한 예의 주시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다경제 발전의 문제에 있어서도 고령화의 문제에 있어서도 일본은 언제나 우리의 미래였다그리고 그 일본에서 고독사를 주제로 한 일들 또한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고독사를 걱정하는 노인들이 자신들만의 모임을 만드는 일 또한 벌어지는 곳이 일본이다가족이 해체되고노인들이 노동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사회의 일부분으로 삶을 영위할 수 없는 이상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그들에게 있어서 지옥의 문으로 한발자국 깊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면 뭐라고 할 수 있을까.

이 책의 부제는 영혼 없는 삶을 유지할 것인가영혼이라는 추상적인 단어영혼 없는 삶이라는 상투적인 표현이 쓰이긴 했지만책의 내용을 보면 이 말은 그렇게 순진한 말도 혹은 상투적인 것 또한 아니다죽음을 앞도고 벌어지는 사람들의 삶은 그야말로 인간으로서의 영혼즉 인간으로서 우리를 구성했던 삶들이 해체되고 분해되는 과정의 연속선상에 있기 때문이다그 옛날. ‘무병장수라는 말이 최고의 노인들을 위한 말로 자리잡았던 시절노인들은 우리 사회에서 관리자로서 혹은 전문가로서의 지위를 갖고언제든 마을에서 무슨일이 생기면 그들이 해야 할 위치는 정해져 있었다비록 노동력은 쇠했지만그들의 삶의 지혜가 정보가 부족했던 옛날에는 필요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오늘은그들은 그저 노동력도 쇠하고 지혜를 갖고 있다고 보기도 어려운 존재들이다.

이 책은 그래서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묻는다흔히 이야기하는 웰다잉그리고 일본에서 최근 불고있는 슈카츠다죽음은 과거 두려운 것 이었으나이제는 이것을 바라보는 우리 삶의 태도를 전환하고이를 준비하자고 책의 저자는 이야기 한다글쎄다저자의 말에 동의할 수는 있다하지만 죽음이라는 미지의 공포는 아직까지 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