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후변화와 환경의 미래 - 어떻게 대응하고 적응할 것인가
이승은.고문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5월
평점 :
품절

아! 기후의 문제가 이렇게 어려웠단 말인가! 환경의 문제가 이렇게 어려웠단 말인가. 세삼 이 책을 읽은 뒤에야 나는 알게 되었다.
시간을 한 10년 전으로 돌려다 보자! 그때 내가 환경문제 기후 변화 문제에 대하여 경각심을 일개워 준 것은 지구과학 선생님 이었다. 이 한마디는 결코 잊을 수 없다. “가령 얘들아! 기후가 변해서 국지성 호우가 어느 지역에 내린다고 하자? 하지만 그 나라가 물 부족 국가라면 이것은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니? 그렇지 않아! 이유는 간단하다. 내려도 너무 많이 내려!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문제가 만만치 않지! 그리고 그 반대편에서는 비가 너무 안 내려! 기후변화가 생겼을 때 벌어지는 상황이 바로 이런 거란다! 내리는 곳에서는 너무 많이 내리고 내리지 않는 곳에서는 내리지 않는다!” 선생님의 이 말은 나에게 있어 기후변화 문제를 인식하고 앞으로 기후 변화 문제를 해석하는데 있어 중요한 말이 됐다.
하지만 내 생각이 짧았던 듯 싶다. 아마 지구과학을 공부한 것만으로 기후변화 문제와 환경문제를 봐왔다면 이는 상당히 쉬운 해결책에 도달했을지 모르겠다. 그냥 해당 사건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그 원인들을 우리 모두가 착착 진행하면 될 일이 아니겠는가. 하지만 우리 인류는 어린 아이들이 아니다. 얼마 전 ‘등교 거부’ 프래카드를 들었던 그레타 툰베리처럼 그냥 길에서 소리를 지른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기후변화 문제 그리고 호나경 문제는 내가 생각한 것 이상 훨씬 복잡한 문제이며 이것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상당히 복잡한 프로스세그 필요함을 이 책 <기후변화와 환경의 미래>를 읽으며 알게 됐다.
이 책은 단순히 기후 변화의 문제를 과학적 측면으로만 다루지 않는다. 이 책은 정치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 즉! 문과들이 좋아할법한 담론들을 중심으로 환경 문제에 접근한다. 즉! 단순히 기후 변화의 문제를 환경의 문제 자연의 문제가 아닌 정치의 문제로 접근하며, 해당 문제의 원인이 얼마나 입체적이고 그 해결이 얼마나 복잡 다단한지를 이야기 해주는 책이다. 그래서 기후 변화 문제를 이해하는데 있어 다소 복잡하기도 했거니와 무엇보다 새로운 방식의 접근(물론 기존에 있었지만 내가 몰랐을 ㅠㅠ)이라서 상당히 신선함이 느껴지는 책 이었다.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