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를 평소에 좋아했다대학 시절 잃었던 <과학혁명의 구조>는 내 인생에 있어 잊지못할 책중 하나였다홍성욱 선생님인 이 책을 번역한 것이긴 하지만어쨌든 정말 좋은 책이었다과학자 집단이라는 사회에는 오류가 없고 정확히 이성에 근거해서만 움직일 것이라는 나의 상상 아닌 상상에 대해서 <과학혁명의 구조>를 쓴 쿤은 산산히 조각내 버렸다.

뿐만인가. <과학혁명의 구조>는 홍성욱 교수님이 번역을 한 것이지만홍성욱 교수님이 직접 집필한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 기술또한 정말로 재밌는 책이었다전문가 사회분명히 개방된 사회이긴 하지만 그들이 다루는 문제들은 그 자체로 울타리를 만들어 시민들의 접근이 제한되는 세계다그래서일까홍성욱 교수가 쓴 책들은 과학자 사회를 탐문한 책들로 과학과 관련된 새로운 즐거움을 나에게 주었다.

 

크로스 사이언스!

 

과학은 현재에도 진리의 왕좌를 꾀차고 있다그래서 사람들은 과학을 생각할 때 그 완벽함만을 생각한다과학에 대해서 매우 단순한 사회상밖에 그려내지 못하는 것이다미래 과학 기술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영화를 보라대개 그 세계는 어느 한 편에서는 디스토피아가 다른 한편에서는 유토피아가 공존한다못사는 사람은 계속 못살고잘 사는 사람은 과학이 아무리 발전해도 잘산다하지만 이와 같은 단순한 논리에 입각한 말로는 과학이 만들 미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따분할 뿐이다과학을 재미있게 사용하고이를 유려하게 이용한 것을 중심으로 글을 썼다면 아마 <크로스 사이언스>와 같은 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 책 <크로스 사시언스>에는 다양한 영화들이 나온다내가 태어나기 전에 나온 영화부터 시작해서최근에 나욘 영화(공각기동대)처럼 말이다이 책은 영화의 모티브가 된 과학 기술들을 중심으로과학이 만들 미래에 대해서 찬찬히 알려준다영화를 중심으로 그리고 영화라는 배경이 있기에 홍 교수님이 해주는 이야기는 그리 딱딱하지 않다오히려 부드럽게 복잡한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다고나 해야 할까!

어쨌든 참 좋았던 책이다.

 


공각기동대


솔직히 영화를 통한 통찰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우리는 보통 인식론적자신을 규정하는데에 있어 환원론적인 생각을 갖는다모든 것에서 원자화된 무언가어떤 ‘1’을 찾으려고 한다절대적으로 변하지 않는 것하지만 영화 공각기동대의 메시지는 조금 다르다고 이야기 한다솔직히 나는 <공각기동대>를 보도고 제대로 이해를 하지 못했다고백한다어쨌든 이 책에서 공각기동대에 대한 해석을 들을 수 있었다그것은 책에더 나와 있다시피 무엇이 나를 규정하는 것이기 보다자신이 만드는 관계의 총합이 자신을 만든다는 것이었다솔직히 엄청난 통찰이 아닐까 싶다나는 언제나 나 자신을 찾기 위해 배제만을 하면서 살아온 것 같은데그래서 이런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