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웨스 앤더슨의 영화
휘트니 크로더스 딜리 지음, 최지원 옮김 / 본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품절
<거의 없다>라는 이름을 쓰고 있는 영화 유튜버는 우리나라 영화들을 한마디로 까는 영상들을 유튜브에 올리고 있다. 가령 김제규 감독이 운영하고 있는 JK필름의 흥행 공식에 대해서 까거나, 그의 영화가 얼마나 어색하고 고민한 흔적이 없는 것들을 찾아내서 깐다고나 할까. 나는 일주일에 한번 올라오는 <거의 없다>의 콘텐츠들을 상당히 좋아한다. 그간 내가 알지 못했던 우리나라 영화를 분석해주면서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선명하게 드러낸다고나 할까. 상식적이지 않다. 고민하지 않았다. 또 따라했다. 벳겨썼다 등등. 그가 유튜브 영상을 만들면서 하는 말들 또한 하나같이 나에게 있어 사이다를 마시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래서일까. 나는 <거의 없다>라는 유튜버를 만난 뒤로 우리나라 영화를 보지 않는다. 아니다 어쩌면 그 전부터 보지 않았을지 모른다. 과거 이모랑 함께 <7번가의 기적>을 보러 간적이 있었는데, 신파의 느낌이 너무 났다. 솔직히 그런 우리나라 영화들을 너무 많이 봐서 인지 진절머리가 났다. 설날 추석 때에나 돈을 벌려고 배우들을 써서 만드는 영상 콘텐츠 이상의 느낌이 더 이상 나지 않는다. 이제 웃 긴걸로 치면 유튜버들이 더 웃길 수도 있고, 유명한 사람들도 유튜버 들이다. 굳이 유희를 즐기기 위해 억지로 영화관에가서 억지로 못 만들어진 혹은 자기네들 나름의 흥행공식으로 짜여진 영화들을 볼 필요가 없게 돼서 너무 기쁘다.
하지만 그렇다고 내가 영화관에 전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한국 영화를 보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일단 <거의 없다>와 같은 유튜버를 통해 걸러낼 영화들 – 못 만든 영화들-은 다 걸러낸 다음에, 좋아 보이는 영화들을 찾아서 간다. 그리고 대개 그런 영화들은 한마디로 말하면 정말 잘 마들어진 well-made영화 이거나, 아니면 실험적인 영화들이다. 내가 최근에 본 한국의 실험적인 영화는 <옥자> 정도라고나 할까. 나머지 한국에 있는 감독들이 실험적인 영화를 만드는 것은 거의 보지 못했던 것 같다.
그리고 나는 실험적인 시도를 하는 영화를 보고 싶다면 네이버에 ‘웨더 엔더슨’이라는 5글자를 친다. 웨더 엔더슨의 영화에 대해서 이전까지 크게 관심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의 영화는 뭔가 독특했다. 그리고 그 안에 뭔가 감독이 숨긴 것을 캐는 재미가 있었다. 관객인 내가 그동안 “재미를 먹어라”며 억지로 나의 입을 벌려서 호스를 통해 강제로 먹이는 듯한 뉘앙스의 한국 영화만 봤다면, 웨더 엔더슨의 영화는 주제 자체도 특이하고 그것을 서사를 풀어가는 고정 그리고 그것을 영화 안에서 구현하는 어색하지만 신기한 듯한 것들이 상당히 많았다.
웨더 엔더슨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던 것은 아니었지만 <웨더 엔더슨의 영화>라는 책을 통해서 그의 작품 세계와 영화 속에서 남겼던 메시지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이제 웨더 엔더슨이 만든 영화 하나하나르 다운 받으며 책에서 익힌 내용을 하나하나 확인해보는 일만 남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