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 교사, 학부모, 학생을 위한 미래 교육 길잡이
류태호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정부 뿐만이 아니라, 현 정부에서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동안의 산업 혁명들을 한번씩 돌아보도록 하자.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하나의 산업 혁명이 있을 때마다 인류는 얼마나 큰 변화를 목격했는가.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것은 분명히 노동분야다. 선업혁명은 사람들의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었고, 잉여 노동력을 줄요 회사에게는 더 많은 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했다. 노동자 또한 마찬가지다.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힘을 덜 들이고 일을 할 수 있게 됐을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은 회사로부터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었다. 물론 이는 산업혁명의 긍정적인 면모만 봤을 때 할 수 있는 말이다. 과거 러다이트 혁멱이 있었다시피, 산업혁명은 시민들이 특정 산업에 진입할 수 있는 울타리 구실도 했다. , 시민들이 그냥 노동만 할 줄 알아서가 아니라, 특정한 노동력을 전문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야 해당 산업에 속할 수 있었다.

어쨌든 산업혁명은 사용자들에게는 더욱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주었고, 노동자에게는 다양한 방향으로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의 풍경은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 혁명의 진원지는 어쨌든 산업현장이다.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들을 공급하는 것은 교육기관이다(물론 이는 기업 중심적으로 봤을 때 그렇다. 나는 대학이 절대 기업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 이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보자). 교육기관은 어쨌든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들을 생산해서 소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는 과연 누구일까. 어떤 노동력을 그들은 필요로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대답을 알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이 도대체 어떤 분야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고, 어떤 방향으로 향할 것인지르 알아야 하는게 아닐까.

애가 받은 책.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성적없는 성적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가 가야 할 길을 알려준다. 그리고 변화하는 산업 시스템에 맞춰서 어떤 교육이 교육기관에서 필요한지 알 수 있다.

우리는 그동안 산업혁명에 적응해야 한다면서, 수많은 시도를 해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도들은 유연하지 못했다. 유연하기는커녕 그동안의 방식대로 학생들을 가르쳤을 뿐이다. 컴퓨터 라는 과목을 배울 때에도 이전과 똑같이 주입식 교육이었을 뿐. 크게 다른 것이 아나도 없었다.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런 주입식 교육이 한계에 봉착했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책이 그 답을. 혹은 그 가능성을 사람들에게 알려주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