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겠어요, 이렇게 좋은데 - 시시한 행복이 체질이다 보니
김유래 지음 / 레드박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하면 떠오르는 두가지 단어가 있다. 히키코모리와 오타쿠다. 두 단어의 이미지가 비슷해 보이는가? 전혀 다르다. 오타쿠는 에니메이션 캐릭터를 좋아하는 사람을 가리키고 히키코모리는 고립되어 바깥 세상과 자신을 차단한 사람을 가리킨다. <어쩌겠어요. 이렇게 좋은데>를 이야기하며 이 두 단어를 꺼낸 이유는 이 책과 오타쿠, 히키코모리와 닿는 면이 있어서이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라는 나라는 아픈 나라다. 나라 전체가 고요하다(물론 정치적인면에서는 ㄴㄴ. 문화적으로는 정적인 것을 상당히 많이 따지며, 그것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한 듯 싶다. 이것은 내가 개인적으로 말레이시아 문화교류 파견을 가면서 알 수 있었다. ). 책의 저자는 우붓이라는 곳으로 떠났다. 우붓은 한마디로 말하면 가장 말레이시아스러운 곳이다. 빽빽한 자연과 친절한 사람들.(물론 모든 말레이시아인들이 친절하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이 많은 곳으로 전형적으로 말레이시아스러운 곳이다. 이 책을 쓴 저자만이 아니라 일본의 오타쿠나 히키코모리조차 우붓과 같은 곳을 한번 방문하면 자신의 지난날의 일을 깔끔하게 돌아보고 다시 새로운 삶을 생각할 수 있을 정도로 머리여 커다란 공백을 남겨줄 것 같은 그런 쉼의 장소라고나 할까.

책을 읽는 내내 나 또한 우붓과 같은 곳으로 가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여행을 한다는 것은 단순히 여유가 있는 곳이 필요하다는 생각만으로는 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안다. 여유가 있는 곳에 있고 싶다고 하는 자기주도성이 필요하다. 저자는 그런 자기주도성이 있는 사람이고 나나 오타쿠 혹은 히키코모리와 같은 사람들느 그런 자기주도성이 없는 사람일테다. 그래서일까. 굳이 책에서 소개한 우붓만이 아니라 난 근처에 있는 좋은 여행지로도 여행을 떠나지 않는다. 이 찌는 햇볕과 몰아치는 태풍 아래에서 가만히 창만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며 가만히 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