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없는 성적표
류태호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대선 때 지겹게 들었던 한 단어가 있었다. 4차 선업혁명. 이 단어를 아마 가장 많이 말한 사람은 아마 안철수 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안철수는 자신의 입에서 자신의 과거 경력력들을 소개하며 4차 선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지도자는 자신이 돼야 한다며 어필했다. 안철수 씨는 지지율이 20%가 나왔는지 잘 기억도 안난다. 그래도 10% 이상 득표한것도 나는 신기해 죽겠다.

그의 입에서 이번 지방선거 때에도 똑같은 말이 반복됐다. 4차 산업혁명. 시민들은 4차 산업혁명이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도 제대로 알지 못한다. 시민들이 무식한 것이 아니라, 4차 선업혁명이라는 말 자체라 언론인들이 만든 뭔가 선전문구 같은 것이고, 3차 혁명의 연장선일 뿐 커다란 변화가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다. 기본적으로 언론인들이 만든 어색한 언어로 시민들의 마음을 싸게 살려고 안철수는 했다. 안철수의 4차 산업혁명은 그래서 공허하게 들렸다.

그런데 4차 산업 혁명이 바뀌면 무엇이 그렇게 많이 바뀔까. 미래에 다가올 혁명이라 우리가 생각하는 것. 혁명적인 변화에 대해서 그것을 혁명이라 부르든 부르지 않든.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받아 들어야 할까.

산업 혁명이라는 것은 사람들의 노동 환경이 바뀐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사람들의 노동 호나경만이 아니라 노동 패턴도 변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모든 산업이 재편된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그렇다면 가장 빨리 그리고 많이 바뀌는 곳은 아마 사회로 나갈 노동자를 생산하는 학교의 모습은 어떻게 변해야 할까.

나는 수우미양가 세대다. 초등학교 때 잘아면 수 못하면 우나 미를 많이 받았던 것 같다. 하지만 이런 절대평가식 혹은 상대평가식의 교육 방법으로 4차 혁명 시대 변화된 산업 환경에 맞는 인재를 길러낼 수 있을까. 우리나라의 교육 제도가 문제가 많기 때문에 그리고 어떻게든 비판할 수 있기에 이렇게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육제다가 머무렀던 것이 창의력을 죽이거나, 야자를 통해서 아이들의 개성을 줄여나가는 것. 그러한 관념적인 것들. 개인은 없고 학교라는 이름밖에 없는 게 문제가 됐다면 현재 4차 산업 혁명 시대 모습은 어떻게 변화 해야 하는 것일까.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 것일까.

<성적없는 성적표>에서는 새로운 학생들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시한다. 글쎄 그것은 당신이 직접 보는 것이 맞다. 사람을 평가하는 것에 대한 철학부터 시작해서, 평가의 기준 마련과 그것이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생각해볼 기회다. 단순히 학교뿐만이 아니라, 평가를 하는 여러 사업장에서도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