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링 마케팅 - 그들은 어떻게 비용을 수익으로 바꾸었나?
조 풀리지.로버트 로즈 지음, 박상훈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광고와 언론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 둘은 같으면서도 완전히 다른 것이다. 하지만 이 둘을 둘러싼 자본의 형태롤 보면 이들은 상당히 비슷한 점이 적지 않다. 대한민국에는 적지 않은 미디어 콘텐츠 학과, 언론홍보학과와 가은 형태의 전공들이 있다. 이들은 대게 에 중점을 찍지만 실제로 세상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기술이다. 물론 기술이 학이 아닌 것은 아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필요한 역량은 분명히 다르다. 얼마나 약빤 콘텐츠, 얼마나 재미있는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지가 성공의 여부를 결정한다,

나 또한 오래전에 킬링 마케팅을 시도하려고 한 적이 있어다. 작은 스타트업이고 미디어 콘텐츠를 만드는 일 이었다. 물론 실패했다. 애초에 스타트업의 기초를 잘못 닦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나는 어떤 방향의 컨텐츠를 생산해야 되는지부터 시작해, 근본적으로 무엇이 잘못됐는지를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한 순간의 실패로 스타트업이 날아가긴 했지만 분명히 필요한 것은 있었다.

다시 언론과 광고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결국 언론을 먹여 살리는 것은 광고다. 신문을 보도록 하자. 신문에는 얼마나 많은 광고들이 붙느냐에 따라 그 신문사가 성장할 수 있는가 형상유지를 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TV또한 마찬가지다. 회사들이 자신의 물건을 팔기 위해 미디어를 이용한다. 회사들은 광고회사에 자신의 광고를 부탁하고, 다시 돈을 들여서 방송국에 이를 송출한다. 그리고 방송국은 대게 언론으로 불리며 이 수익을 통해 언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 이게 바로 언론과 광고가 연결돼있는 시장이다.

그런데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굳이 방송국이 아니어도 회사가 자기네들을 홍보할 수 있는 창구들을 찾고 있는 것이다.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등등. 수많은 창구들이 만들어졌고, 그만큼 회사가 저렴한 비용으로 혹은 더 질좋은 콘텐츠를 통해 자기네를 홍보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된 것이다. 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

이 책 킬링 마케팅은 그런 책이다. 미디어 콘텐츠를 다루는 초급자가 아닌 어느정도 이 시장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이 봐야 할 책이다. 적어도 시장 자체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고, 어떤 패러다임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지 알아야 이 책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미디어 콘텐츠 업계에 있는 사람들이 이 책을 봤으면 가장 좋을 것 같다. 참 재미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