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적의 논리. 종북 혹은 빨갱이는 그런 무적의 논리를 구현화하는 핵심 단어였다. 쿠데타 집단에 복종하지 않는 집단은 모두 이 무적의 논리 앞에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었다. 우파 집단이 통일을 이야기하면 우리 민족이 이루어야 하는 업으로 생각됐고, 좌파 집단이 통일을 이야기하면 북한의 사상에 오염된 사람으로 생각됐다. 북한을 추종하지 않은 좌파 집단이라 할지라도 이 무적의 논리 앞에서는 안전하지 않았다. 좌파정책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은 2계단 혹은 3계단의 논리만 건너면 이것들 또한 모두 북한의 그것과 연계된 것이라 생각되고 공경의 대상이 됐다.

하지만 논리는 논리일 뿐, 그것은 현실이 아니다. 논리가 설명할 수 없는 변화들이 예상했던 지점에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발전했고 혹은 예상하지 못했던 수 없이 많은 지점에서 생겨나며 무적의 논리는 봄 햇살을 만난 겨울의 눈과 다를바 없었다. 무적의 논리로는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었고, 설명이 되더라도 사람들에게 이해할 수 없는 것들, 혹은 반론의 여지가 많은 것들이 상당했다. 무적의 논리는 마치 우리나라와 관련된 세상의 모든 일을 설명하는 기적의 공식과도 같은 것이었지만, 세상이 변하면서 그것의 아성은 무너져 내렸다. 아이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앞에 선 뉴턴의 중력의 법칙처럼, 새로운 변화들을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해석할 수 있는 도구들이 생겨나자 이 무적의 논리는 따라가지 못했다. 애초부터 비선형적이며, 복합적이고, 특별한 패턴도 있지 않은 정치사의 모든 일을 이 하나의 논리로 정리해 해석하려는 것은 애초부터 무리가 있는 것 이었다. 그리고 애초부터 무적의 논리는 그런 변화를 염두해두고 만들어 진 것 또한 아니었다.

지난 2017427일은 이 무적의 논리가 드디어 역사의 무덤속으로 들어가는 날 이었다. 무적의 논리로 무장한 집단들은 산산이 부서졌고, 그들이 만들어낸 모든 북한에 대한 왜곡들은 마치 부매랑처럼 시민들의 의심이 되어 그들에게 돌아갔다. 한국전쟁이후 무적의 논리는 이제는 이러한 것이 있었다라는 흔적만 남았을 뿐 현실에서의 실질적인 힘은 갑작스레 상실하게 된 것이었다. 자기 자신을 변화시키지 않고 무조건 무적의 논리만 강조했던 사람들은 정치적 차언에서 산채로 매장된 것이나 다름없게 된 상황이다.

하지만 무적의 논리가 사라진 것이 모든 북한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재정립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사상과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사슬이 끊어진 것일 뿐, 우리가 북한에 대해. 북한이 우리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잘 아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사슬을 뒤로하고 앞으로 북한이 어떤 곳이고, 그들과 우리와의 관계를 어떻게 해 나갈지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남북 관계의 이해>는 그러한 점에서 참 좋은 책이었다. 무적의 논리가 사라진 현재의 시대에 우리는 북한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북한을 이해하기 위해서 북한 내에서는 어떠한 일이 있었고, 그간 북한과 우리의 관계는 어땠는지 알려주는 책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북한에 대한 나의 생각을 하나하나 심어갈 생각이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