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다발은 독
오리가미 교야 지음, 이현주 옮김 / 리드비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띠지에 인쇄된 제5회 미라이야 소설 대상 수상작,이라는 타이틀은 나에겐 별 의미가 없다.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한들 내가 읽어 재미가 없다면 그만인 편이다. 도서관 한구석에 발견한 오래된 소설을 읽으며 전율하고, 전 세계가 열광한 다빈치 코드를 읽으며 한숨을 쉬는 사람이, 나다. 오히려 내 눈을 끈 건 ‘100% 속게 된다’는 출판사의 장담이었다. 오호라.

제목이나 표지 디자인의 묵직함에 비해 이야기 자체는 비교적 쉽게 진행된다. 늘 재미있는 역할인 탐정의 출연은 그 자체로 이미 반은 먹고 들어가는 셈이다. 일본의 라노벨은 탐정이 똑똑하면 조수가 멍청하던가 혹은 그 반대이던가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그런 웃기려 드는 요소를 배제한 점도 좋았다. 술술 읽히지만 라노벨의 경박함은 없는 본격 탐정소설이다.

애석하게도 협박장을 보낸 범인이 누구일까, 왜 그런 걸 보냈을까, 하는 의문에 대한 답은 책을 절반쯤 읽었을 때 슬그머니 떠올랐다. 아무래도 탐정 소설을 좋아해서 많이 읽다 보니 대충 이 사람이지 않을까,라는 경험에서 우러난 감이 왔달까? 그렇다고 해서 김이 샜냐고 하면 그건 절대 아니다. 세상의 모든 탐정 소설이 반전만 가지고 먹고 살 필요는 없지 않나. 그리고 사실, 나처럼 중간에 눈치채는 경우보다 그렇지 못한 사람이 더 많을 것이다.

반전에 대한 기대는 일찍 무너졌지만, 그럼에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고 계속 읽어나가게 만드는 힘이 있었다. 생생한 현실감이 느껴지는 탐정의 조사 방식, 법조인이 아닌 탐정이기 때문에 만나게 되는 높은 벽 같은 법적 요소들은 책 속 세계를 보다 리얼하게 만들어준다. 검사 지망생이라면서 이렇게 사람을 잘 믿어도 좋은가 싶은 책 속 화자인 ‘나’는 신뢰의 힘이 어떤 것인지 한 번 더 생각하게 만든다. 끝으로- 종장에 다다를수록 더욱 짙어지는 ‘악의’, 그 서늘함. 이것이야말로, 결론을 눈치챘음에도 멈출 수 없게 만드는 요소였다.

어쩌면 이 책의 최고의 반전은 범인이나 범죄의 동기 따위가 아니라, 범인을 알고 난 후 독자에게 주어진 선택의 길, 그것일지도 모르겠다. 독이 발린 꽃다발인 줄 알면서도 그것이 행복으로 위장된 것이라면, 나는 그것을 받을 것인가. 혹은 받게 할 것인가.

진실이 밝혀져도 아무도 행복해지지 않는다..
(책 속에서)

#독서 #서평 #미스터리 #탐정소설 #일본소설 #꽃다발은독#오리가미교야 #리드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