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마음에 이름을 붙인다면 보통날의 그림책 1
마리야 이바시키나 지음, 김지은 옮김 / 책읽는곰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름을 붙인다는건 뭘까.​


태초에 하나님은 세상을 창조하신 후 마지막으로 인간을 만드셨고, 창조물들의 이름을 아담에게 짓게 하셨단다. 말하자면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이름'을 부여받고 '이름'을 짓고 '이름'을 사용하며 살게 되어있다는 얘기다.​


그래, 이름은 짓는거다. 

그만큼 지극한 정성과 관심이 필요하다. 

이름 붙이려는 상대에 대해 잘 알아야 꼭 맞는 이름을 지어줄 수 있다. 

넓게 관찰하고, 깊이 들여다봐야 한다. 

잘못 지은 이름은 두고두고 손가락에 박힌 가시처럼 남아서 속을 불편하게 만든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이름이라는건, 말이라는건 참 재미있다. 

뭐 얼마나 다르겠냐 싶지만 자주 사용하는 단어라던가 말투 같은 것들은 생각 외로 사람의 많은 부분을 드러내 보이지 않던가.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느낀건 사실 감정의 이름 자체보다 바로 그 부분-각 나라의 이름이 담고 있는 의미들에서 읽혀지는 특수하고도 보편적인 정서, 풍습 같은 것들이었다. (아마 어릴 적 교과서에서 읽었던 '말은 얼의 거울이다'라는 문장이 뇌리에 강하게 남은 탓일 거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는 슈투름프라이(Sturmfrei, 아무도 지켜보는 사람 없이 집에 혼자 남아 좋아하는 것을 마음껏 할 수 있는 자유)​라는 단어가 있단다. 많은 책과 영화 등을 통해, 유럽 사람들이 얼마나 옆집 일에 관심이 많은지 익히 알고 있지 않나. 부디 다른 사람의 시선에서 자유롭고 싶은 마음이 이런 말을 만들어낸 것 아닐까? 


그리스어의 볼타(Βολτα, 목적 없이 발길 닿는 대로 걸으면서 들려오는 소리와 풍경을 즐기는 일)​는 또 어떤가. 이 이름과 뜻을 읽는 것만으로도 그리스의 아름다운 풍광과, 그 땅 위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한껏 즐기며 살아가는 지중해인들이 떠오르지 않겠나. (그리고 왠지 부럽다) 


그런 것들을 생각하며 책을 읽다 보니-설사 잘못된 추론이라 하더라도- 그저 이름을 나열한 책이 아니라 각 나라들 속으로 좀더 깊이 다가간 듯한 기분이 들었다.


마리야 이바시키나의 아름다운 그림들과 함께 읊어보는 감정들의 이름은, 사실 내가 일상에서 쓸 일은 거의 없을 거다. 하지만 책곰에서 짚어주셨듯, 그림책에게 쓸모를 바라면 안 될 일이다. 쓸모있어야 할 책들은 다 그렇게 있는 것이고, 우리는 그저 그림을 보고, 곁들여진 글들을 읽고, 아 좋은 책이었다, 하면 될 일이다.


아, 좋은 책이었다.

슈투름프라이(Sturmfrei, 아무도 지켜보는 사람 없이 집에 혼자 남아 좋아하는 것을 마음껏 할 수 있는 자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ksdksro 2022-06-26 1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리뷰를 보니 더 읽고 싶어지네요

김순희 2022-10-19 0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예쁜 단어들이 많이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