챌린지 블루 창비교육 성장소설 1
이희영 지음 / 창비교육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내내 여러가지가 생각나는 책이었다.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스스로에 대한 진지하고 깊은 고찰도 없이 막연하게 성적에 맞춰 진학을 결정하던 십대 시절의 나, 무리없이 목표한 대학에 진학해 비싼 등록금을 치룬 후에야 이 길은 내가 갈 길이 아니라 깨달았던 이십대의 나, 언젠가 태어날 아이에게 이런 얘기를 해줘야지, 하며 블로그에 이런 저런 것들을 끄적이던 (애인 없는 미혼이었던) 삼십대의 나, 내 눈 앞에서 마냥 웃고 떠드는 아이를 보며 어떤 어른으로 끌어가야 하나 고민하는 사십대의 나.


​돌이켜보면 내 인생은 평탄한 듯 그렇지 않은 듯, 남들 못지 않게 여러 가지 일들을 겪었지만 별다른 일 아니란 듯이 그런 고비를 넘기며 그럭저럭 살아왔다. 남들에게는 난 참 복 받았다, 인생에 어려운 일이랄게 없었다 그렇게 얘기하긴 했지만, 정말 그랬던가 생각해보면 그래도 겪어야 할 일은 다 겪었다. 학업에서, 연애에서, 가정에서, 직장에서. 그럼에도 큰 문제없는 인생이었다 반추하게 되는건 무슨 이유일까?




​비록 주인공은 진학과 진로를 앞두고 고민하는 십대로 설정됐지만, 연령대나 처한 상황이 다른 독자들이라도 충분히 귀 기울일 만한 메시지가 계속해서 나온다. 


내일로 가기 전에 잠시 쉬세요. 

이유도 모른 채 자신에게 끌려 다니지 마세요. 

적당히 타협해도 인생이 망가지지 않아요. 

해봐요, 일단 저질러 보면 별 거 아니에요. ​


어떻게 보면 몹시 직접적인 메시지들이 반복해서 나오니 이게 자기계발 책이었나 싶어 헛웃음이 날 지경인데, 그럼에도 끝까지 읽게 된 건 그 메시지에 깊이 공감했기 때문이다. 이런 저런 일들을 겪고 살아왔음에도 그리 힘들었다 생각하지 않을 수 있는 것도, 그리 실패한 인생은 아니다 생각하게 되는 것도 아마 이 책 ‘챌린지 블루’에서 전하고픈 메시지들을 비록 구체적인 형태가 아니더라도 이래저래 내 삶에 받아들여왔기 때문 아닐까.


​나는 이렇게 그럭저럭 살아왔는데, 막상 이게 내 아이의 일이 된다 생각하니 그게 내 일처럼 마음먹어지지 않는다. 이런 상태라면 바림의 엄마처럼 아이가 차마 속 이야기를 솔직하게 말하지 못 하고 속으로만 꾹꾹 눌러 삼키도록 몰아붙이는 어른이 되어버리는 것 아닐까? 같은 십대가 읽으면 그저 공감하고 말 일인데 엄마의 입장에서 바라보니 장르가 성장소설에서 공포물로 바뀌는 듯한 기분도 든다. 그렇게 되면 안 되는데. 사는게 꼭 그렇지 않다는걸 이미 알고 있는데도 왜 내로남불이 되는 걸까. 


이제 내가 가져야할 마음은, 이거다. 버려라. 아이의 미래를 미리 걱정하는 마음을 버려라. 내가 어떻게든 해주지 않으면 안 된다는 조급함을 버려라. 그리고 또한 기억하자. 태어나버린 이상 선택은 그 삶을 살아가게 될 아이의 몫이라는 걸, 내가 가져야할 것은 응원과 격려, 필요로 할 때 필요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어른의 현명함, 무엇보다 내가 바라야할 것은 아이가 행복해질 수 있는 길이라는 걸.


​챌린지 블루. 

많은 것들을 떠올리고, 또 많은 것들을 새삼스레 다짐할 수 있게 해주어 감사합니다. 

더불어 훌륭한 책받침이 되어준 설이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이유도 모른 채 자신에게 끌려 다니지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