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추장스런 조리과정도, 값비싼 양념도 요하지 않으면서도 기막힌 맛을 내는 상추쌈은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의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문화권으로 비교적 식문화가 닮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찾을 수 없는 문화이지요. 호박잎, 케일, 콩잎도 있지만 대표적인 쌈 채소는 역시 상추입니다. 상추쌈은 우리 민족 고유의 음식 문화가 빚어낸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8

즉 상추는 生菜(생채)라는 한자어가 변화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익히지 않고 날로 먹는 채소라는 뜻에서 생채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그 발음이 상치, 상추 등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생채는 익히지 않은 나물이라는 의미로만 쓰이게 되어 무생채와 같은 식으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대적 개념이 생겨나는 원리를 태극의 예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태극기 안의 태극 문양(음과 양이 나뉘어져 있는 모양)을 태극이라 생각하지만 원래 태극이란 극이 없는 상태, 즉 음과 양이 나누어지기 이전의 상태를 말합니다. 즉 우주가 만들어지기 이전 태초의 상태가 태극인 것입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1

그런데 이 태극 상태에서 한 번의 움직임이 발생했는데 이것을 양(陽)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양이라는 개념이 생기자 그 반대의 상태, 움직임이 없는 정적인 상태를 비로소 음(陰)이라고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2

즉 음과 양의 극이 나뉘지 않은 태극 상태에서 양(움직임)이 생김으로써 음(멈춰 있음)이란 개념이 생겨났는데 이것을 도식화한 것이 바로 태극 문양입니다. 양과 음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이지만 맞서고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품고 있는, 그래서 서로 의존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2

유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인간관계의 기본으로 세 가지 덕목을 강조했습니다.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부강(夫爲婦綱), 부위자강(父爲子綱)으로, 이 세 가지를 일컬어 삼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강은 벼리 강(綱)입니다. 벼리란 그물의 위쪽 코를 꿰는 큰 줄을 말합니다. 벼리를 잡아당겨 그물을 오므렸다 폈다 해야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큰 사물의 핵심이 되는 부분, 즉 근본이 되는 부분을 벼리라고 말합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aumgartner is sitting at his desk in the second-floor room he variously refers to as his study, his cogitorium, and his hole. Pen in hand, he is midway through a sentence in the third chapter of his monograph on Kierkegaard’s pseudonyms when it occurs to him that the book he needs to quote from in order to finish the sentence is downstairs in the living room, where he left it before going up to bed last night. - P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군가 요제프 K를 모함했음이 분명하다. 나쁜 짓을 하지 않았는데도 어느 날 아침 체포되었으니 말이다.

소송 | 프란츠 카프카, 김재혁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242000823 - P7

우리의 관청은, 내가 아는 바로는, 물론 하급 관청밖에 나는 모르지만, 죄를 지은 자를 찾아 나서는 게 아니라 법에 적혀 있는 대로 죄가 있는 쪽으로 쏠려 우리 같은 감시원들을 파견하게 되는 거요. 이게 바로 법이오.

소송 | 프란츠 카프카, 김재혁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242000823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에서는 천재들이 잡초처럼 돋아난다. 한쪽에서 살인을 저지르듯 다른 쪽에서는 노래하고, 한쪽에서 사기를 치듯 다른 쪽에서는 그림을 그리고, 지나가던 개는 성당 담벼락에 오줌을 갈긴다. 메르칼리라는 어떤 이탈리아인이 파괴의 등급에, 그러니까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등급에 자신의 이름을 붙였던 데에 아무런 이유가 없는 건 아니다. 한 손이 세운 걸 다른 한 손은 부수는데, 감동은 동일하다.

-알라딘 eBook <그녀를 지키다> (장바티스트 앙드레아 지음, 정혜용 옮김) 중에서 - P12

내 이름은 미켈란젤로 비탈리아니가 된다.

-알라딘 eBook <그녀를 지키다> (장바티스트 앙드레아 지음, 정혜용 옮김) 중에서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