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지, 오이지 등 절임류 음식에 붙어 있는 ‘지’자가 바로 김치에 대한 순우리말인 디히가 변화해서 만들어진 말입니다. 디히에서 모음과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하여 디이가 되었는데 ㅣ 모음이 중복되므로 한 음절로 줄어들어 ‘디’가 되고 여기에 구개음화까지 더해져 ‘지’가 되었어요.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