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김치는 침채(沈菜)라는 한자어가 변해서 만들어진 말입니다. 침채는 담글 침(沈)에 채소 채(菜)자로 ‘채소를 담근 것’이라는 의미이지요. 현대 한자음으로는 침채이지만, 옛 한자음으로는 팀ᄎᆡ이었고, 사람들이 말할 때는 딤ᄎᆡ라고 했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196
아마 학창시절에 구개음화란 ㅣ모음 앞에서 ㄷ이 ㅈ으로, ㅌ이 ㅊ으로 바뀌게 되는 현상이라고 배운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가령 해돋이, 같이가 어원이나 표기를 고려하면 [해도디], [가티]로 발음되어야 하지만 [해도지], [가치]로 변한 것이 바로 구개음화 때문입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