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신경과학자 프랜시스 크릭과 크리스토프 코흐는 이런 질문을 던졌다. "우리 뇌는 왜 일련의 전문화된 좀비 시스템으로만 구성되어 있지 않은가?"44 이 질문을 바꿔서 말하면 이렇다. 우리에게 왜 의식이 있는가? 우리는 왜 회로에 각인되어 문제를 해결해주는 이 자동 루틴의 거대한 집단이 아닌가?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287

우리 의식이 언제 작동하는지 생각해보라.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우리의 기대나 예상과 어긋날 때다. 모든 것이 좀비 시스템의 필요와 솜씨에 따라 진행될 때는 우리 의식이 바로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을 대부분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나 좀비 시스템이 갑자기 과제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면, 의식이 문제를 인식한다. CEO가 서둘러 달려와서 빠른 해결책을 모색하고, 이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사람을 찾으려고 모두에게 전화를 돌린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289

진화의 관점에서 보면, 의식의 존재 이유는 다음과 같을 것으로 짐작된다. 좀비 시스템이 거대한 집단을 이루고 있는 동물은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지만 인지적으로는 유연성이 없다는 것. 간단한 과제를 수행하는 데에는 경제적인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지만, 한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신속하게 옮겨가거나 뜻밖의 새로운 과제에서 전문가가 되겠다는 목표를 신속히 설정하지는 못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292

첫째, 의식은 ‘전부 아니면 전무全無’가 아니라, 동물마다 다른 수준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동물의 의식 수준은 그 동물의 지적인 유연성에 필적할 것이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293

나는 상충하는 좀비 시스템들을 성공적으로 중재하는 능력이 의식의 존재를 알려주는 유용한 지표라고 본다. 입력-출력 서브루틴이 어지럽게 엉켜 있는 것처럼 보이는 동물일수록, 의식이 있다는 증거가 적다. 여러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만족을 뒤로 미루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배우는 능력이 뛰어날수록, 의식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295

비밀이라는 개념을 생각해보라. 비밀에 대해 알려진 사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비밀을 지키는 것이 뇌에는 건강하지 못한 행동이라는 점이다.46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297

라이벌들로 이루어진 팀이라는 가설 안에서는 비밀이라는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밀은 뇌에서 정당들이 서로 경쟁하며 투쟁한 결과다. 뇌의 한 부분은 어떤 사실을 밝히고 싶어하지만, 다른 부분은 밝히지 않으려 한다. 이렇게 엇갈리는 투표 결과가 나온 것이 바로 비밀이다. 어느 정당도 굳이 밝힐 생각이 없는 사실은 그저 재미없는 사실일 뿐이다. 양당이 모두 밝히고 싶어하는 사실은 좋은 이야기다. 라이벌 관계라는 틀이 없다면, 우리는 비밀이라는 개념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비밀은 라이벌 관계의 결과물이라서 의식에 감지된다. 늘 하던 일이 아니기 때문에, CEO를 불러와 처리하게 하는 것이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298

여러분도 틀림없이 알아차렸겠지만, 비밀을 털어놓는 것은 보통 순전히 비밀을 털어놓기 위한 행위이지 조언을 구하는 행위가 아니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300

기술은 지금까지 민주적인 구조, 즉 라이벌들로 이루어진 팀이라는 가설을 이용하지 않았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303

이 장의 중요한 교훈은 우리가 각종 부품과 하위 시스템의 의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304

사법 시스템의 관점에서 인간은 실질적인 추론자다. 행동을 결정할 때 우리는 의식적으로 숙고한다. 이렇게 스스로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사법 시스템은 범죄 행동뿐만 아니라 죄를 저지르려는 마음까지 드러나야 한다고 요구한다.1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329

첫째, 자유의지 없이도 복잡한 행동이 가능하다. 우리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서 목격한 복잡한 행동의 배후에 반드시 자유의지가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면 안 된다는 뜻이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3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