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즈 파스칼은 1670년 경탄을 담아 이렇게 썼다. "사람은 자신의 출발점인 무無와 자신을 완전히 에워싼 무한을 모두 보지 못한다."1 파스칼은 우리가 상상조차 할 수 없을 만큼 작지만 우리를 구성하는 원자와 무한히 커다란 은하 사이의 얇은 조각 위에서 삶을 보낸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59

우리가 타고난 생물학적 여건이 우리 경험을 전적으로 제한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60

공감각共感覺이라는 현상 때문이다.5 공감각을 지닌 사람의 감각 하나를 자극하면, 변칙적인 감각이 생성된다. 색을 소리로 듣고, 형태를 맛보는 등 여러 감각이 체계적으로 조합된다. 사람의 목소리나 음악을 단순히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이나 미각이나 촉각으로도 경험하는 식이다. 공감각은 여러 감각 지각이 융합된 것이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66

공감각은 비자발적이고 자동적이며, 세월이 흘러도 일관적이다. 지각의 유형은 대부분 기본적이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67

공감각은 뇌의 감각 영역들 사이에 혼선이 유난히 증가한 결과로 생겨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68

공감각의 존재 자체가 뇌의 종류와 정신의 종류가 단 하나뿐이 아닐 수 있음을 보여준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68

우리 현실이 그들에게 낯선 만큼, 그들의 세계 또한 우리에게 낯설다. 그들도 우리처럼 자신에게 제시된 현실을 받아들일 뿐이다.10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69

수십 가지 유형이 있는 공감각은 개인이 보는 주관적인 세계가 놀라울 정도로 다르다는 점을 강조해준다. 각자의 뇌가 스스로 무엇을 지각할지, 또는 무엇을 지각할 수 있는지 결정한다는 점을 우리에게 일깨워주는 역할도 한다. 이 사실이 여기서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점을 다시 불러낸다. 즉, 현실은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주관적이라는 사실.11 뇌는 수동적으로 현실을 기록하기보다, 적극적으로 현실을 구축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70

우리의 ‘생각 움벨트’는 ‘생각 움게붕’의 아주 작은 일부일 뿐이다. 이제 이 영역을 탐험해보자.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71

진화심리학은 우리가 특정한 방향으로 사고하게 된 이유를 탐구한다. 신경과학자는 뇌를 구성하는 조각들을 연구하는 반면, 진화심리학자는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소프트웨어를 연구한다. 진화심리학에 따르면, 뇌의 물리적인 구조가 일련의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그 프로그램들은 과거 특정한 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에 뇌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들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거나 배제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242c63516274117 - P1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