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이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있지만 인지언어학과 심리학의 주요 가설 중 하나인 ‘체화된 시뮬레이션’embodied simulation은 우리가 언어를 이해할 때 단어의 정의를 파악하고 문법 규칙을 적용하는 것을 넘어 몸이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언어를 이해한다는 것은 문자 정보의 처리를 넘어 그간 쌓은 기억과 감각을 동원한다는 견해인데요. - <인공지능은나의읽기쓰기를어떻게바꿀까>, 김성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b619a4c1825e4174 - P144

"이해란 언어 입력에 의해 주어진 단서들에 기반해 실제 경험으로부터의 흔적들을 통합하고 배열함으로써 묘사된 사건들을 대리 경험하는 것이다." - <인공지능은나의읽기쓰기를어떻게바꿀까>, 김성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b619a4c1825e4174 - P144

언어의 이해는 우리의 기억과 정서 그리고 체화된 습속을 동원하는 과정으로서 몸의 이해입니다. 즉 언어는 언어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경험의 총체 중에서 해당 언어에 조응하는 부분들을 가져와 순식간에 모아 내는 과정에서 의미를 산출합니다. 언어를 기반으로 뇌가 경험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의미가 구성되는 것이죠. 인공지능이 언어를 행렬로 변환하고, 이를 벡터 공간에 매핑해서 계산해 내는 과정과는 질적으로 다릅니다. - <인공지능은나의읽기쓰기를어떻게바꿀까>, 김성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b619a4c1825e4174 - P144

텍스트 생성text generation만 생성적인 것이 아니라 텍스트 이해도 생성적입니다. - <인공지능은나의읽기쓰기를어떻게바꿀까>, 김성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b619a4c1825e4174 - P145

다시 말해, 사회화와 언어 습득은 별도의 영역에 존재하는 과정이 아닙니다. 언어를 주고받는 상호작용의 축적 속에서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개념의 체화 속에서 사회화가 일어납니다. - <인공지능은나의읽기쓰기를어떻게바꿀까>, 김성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b619a4c1825e4174 - P1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