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 잘린 생쥐 신나는 책읽기 25
권영품 지음, 이광익 그림 / 창비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간만에 멋진 녀석이 나타났다.



그 이름 하여

“빠른발”




이 녀석은 고양이에게 잡혀 죽을 뻔했다가 가까스로 도망쳤지만 꼬리가 잘렸다. 그런대도 기가 꺾이기는커녕 잘린 꼬리를 위험을 극복한 영광의 상처쯤으로 생각하고 짧아진 꼬리 대신 멋진 빨간 리본을 달고 다닌다.




녀석은 이 세상에 유일하게 고양이가 없는 세상이 학교라는 사실을 알고 학교로 간다. 그런데 학교 내에는 이상한 질서가 형성되어 있다. 이곳은 잘난 쥐와 못난 쥐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지고 잘난 쥐는 먹을 것과 놀 거리가 많은 교실 바닥에서, 못난 쥐는 더러운 화장실에서 살아야 하고 잘난 쥐가 사는 교실에는 올 수도 없다. 이곳에 살고 있는 못난 쥐들은 자괴감에 사로잡혀 어두운 곳에서 웅크리고 살고 있었다.




이곳에 고양이와의 싸움에서 고양이가 걸어 다니기 힘들 정도로 다쳤다고 허풍치고 뭐든 잘 먹고 노래 잘 부르고 발 빠르다고 자랑하는 빠른발이 나타났다. 빠른발은 도무지 잘난 쥐와 못난 쥐로 칼 자르듯 나누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다들 같은 무리의 친구일 뿐 잘난 것도 못난 것도 없다는 것이다. 빠른발은 못난 쥐 무리의 회색눈을 만나 친구가 되고 회색눈은 빠른발을 만나 그의 생각에 혼란스러워하나 점점 용기를 얻어 빠른발과 함께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고 새 집단의 우두머리가 된다. 회색눈 또한 눈여겨볼 만한 캐릭터이다. 빠른발의 생각에 고무되어 가장 많은 갈등과 혼란을 극복해내고 새로운 세상을 이끌어냈으니 말이다.




잘난 쥐와 못난 쥐의 양분은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이 살고 있는 세상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우등생과 열등생, 강자와 약자, 가진 자와 못가진 자, 잘생긴 자와 못생긴 자, 정상인 자와 아닌 자.... 이 세상의 수없이 많은 잣대들이 모든 생각과 사물을 양분하고 있다. 이같이 모 아니면 도라는 극단이 만연된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빠른발의 자신감과 당당함은 일종의 카타르시스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어디에도 소속되기를 바라지 않고 당당하게 자신의 주관대로 살아가는 빠른발은 수많은  규칙과 체계 속에 매몰되어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일종의 탈출구와 해방감을 만끽하게 할 것이다.




이 책의 일러스트 또한 눈여겨 볼만 하다. 몇 개의 단조로운 색깔의 판화를 이용하여 회색빛의 암울한 세상을 그리고 있다. 다만 빠른발의 꼬리에 묶인 빨간 리본만 빼고는 말이다. 애드 영의 일곱 마리의 눈먼 생쥐의 일러스트가 부럽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