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 - 김상봉 철학이야기
김상봉 지음 / 한길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 고통과 슬픔에 대한 철학적 고찰!




우리의 삶 속에서, 이 세상에서 이토록 받아들일 수 없는 슬픔과 고통이 널려 있는 이유를 묻고 있다.

비극이란 슬픔의 자기반성이므로, 비극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슬픔에 대해 말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그리스 비극이라는 거울에 비추어서 슬픔과 고통의 그 의미와 존재이유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한다.




비극은 고통을 통한 만남의 기쁨을 우리에게 가르치는 예술로, 오직 슬픔에의 참여를 통해서만 참된 만남이 가능하다고 한다. 오직 한사람의 고통이 다른 사람의 고통이 되고 그 고통의 나눔 속에서 내가 너와 만날 수 있기 때문에, 그 모든 고통에도 불구하고 삶은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만남의 가치가 그것을 위해 우리가 치러야 하는 고통의 값어치를 무한히 초월하는 까닭에 우리는 그 많은 고통에도 불구하고 삶을 기꺼이 긍정하고 기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쁨은 오직 고통이 나를 너와 만나게 하는 한에서 다가온다. 김상봉 선생님은 오직 만남을 통한 사랑의 완성을 위해 그 많은 슬픔이 존재하는 이유라는 결론을 내린다.




만남!




나에게는 낯선 단어이다.

내가 너와 만나서 우리가 되는 관계!

지난시간동안 내 생활에서는 다른 사람과의 만남이 거의 없었다. 내 삶은 가족생활이 전부였다.

만남은 어떤 단어들보다도 나에게 낯선 단어였다.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이 없었으니 누군가의 고통도 그 고통의 나눔도 몰랐다. 그저 나에게는 내개인적인 슬픔이 있을 뿐이었다.

고통을 나눈다는 것은 그 고통을 같이 느끼고 행동한다는 의미도 포함되어있을 것이다.




TV 프로그램이나 뉴스에 슬픔이나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나오면 일부러 보지 않았다. 그러한 프로그램을 보는 것이 내게는 더 큰 고통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그들이 겪는 고통은 내 고통이 아니었다. 게다가, 내가 도와줄 수도 없는데 아파하면서까지 그 고통을 알면 뭐하겠는가? 라는 생각을 했다.




김상봉 선생님은 인간의 진정한 삶은 단순한 현존이 아니라 오직 사람과 사람의 만남 속에서만 가능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지금까지의 나의 삶은?




아직은 잘 모르겠다...




그러나 마음의 빗장을 풀고 내 맘 속에 내가 아닌 너를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왜인지는 말로 표현할 수 없지만 네가 내 속에 들어와 머물고 쉴 수 있는 자리를 미련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왜 그래야 하는지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다.




인간의 정신의 깊이와 넓이 그리고 그 크기는 오로지 그가 품고 있는 슬픔의 깊이와 넓이 그리고 크기와 다름 아니라고 한다. 시간이 흐르고 만남을 통한 고통과 슬픔의 깊이가 깊어지고 나면 그 때는 알 수 있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