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십에 읽는 명리의 지혜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명리 인문학 강의
김원 지음 / 더퀘스트 / 2025년 11월
평점 :
작가의 문체는 담백했지만, 그 안에 삶을 꿰뚫는 통찰이 있었습니다. 명리학을 단순한 사주풀이가 아니라 인간의 기질과 흐름, 관계의 이치를 읽는 인문학으로 풀어낸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책장을 덮고 난 지금, 가장 마음에 남는 문장은 "금실무성(金實無聲) - 너무 단단하면 쓰임이 없다"였습니다. 겉으로 완전해 보여도, 너무 단단하면 오히려 쓰임이 사라집니다. 나이가 들수록 단단함보다 여유가 더 큰 힘이 됩니다. 모든 것을 통제하려 하기보다 비워두고 흘려보내는 지혜가 관계도, 일도, 삶도 한결 깊게 만듭니다.
오십을 단순한 인생의 후반부가 아니라 '다시 자기 자신을 경영해야 할 시기'로 정의합니다. "흔들리는 중년에게 위로보다 실질적인 경영 기술이 필요하다"는 말에서 잠시 멈췄습니다. 위로는 잠시의 쉼을 주지만, 진짜 변화는 자기 이해에서 비롯됩니다. 명리학을 통해 스스로의 기질을 읽고, 관계의 방향을 조정하며, 흐름에 맞는 결정을 내리는 것. 그것이 중년의 과제입니다.
특히 '관계는 흐름을 타는 기술'이라는 표현이 와닿았습니다. 사람 사이의 관계는 논리로만 이어지지 않습니다. 때로는 '기운의 결'이 맞아야 조화가 이루어집니다. 일상에서도 늘 느낍니다. 논리보다 흐름, 계산보다 감각이 중요한 순간들이 있습니다. 그것이 명리학이 말하는 '운의 흐름'과 닮아 있습니다.
강점과 약점을 인정하고, 흐름 속에서 나만의 리듬을 찾아가는 과정. 그것이 중년 이후의 지혜일 것입니다.
'운명을 경영한다'는 말이 낯설지 않습니다. 인생의 후반전을 살아가며 방향을 다시 세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곱씹어볼 만한 내용입니다.
⠀⠀⠀
⠀⠀⠀
"금실무성 — 쇠가 꽉 차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너무 단단하지 않게, 조금의 여백을 두고 살아가고 싶습니다. 흐름이 머무는 자리에 삶의 온기가 깃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