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토리딩 슈퍼 기억법
야마구치 사키코 지음, 이수영 옮김, 서승범 감수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인생이 압도적으로 유리해지는 기억의 기술"이 있다면 누구나 배우고 싶은 기술일 것이다. 과거에 사람에게는 '포토 메모리'라는 것이 있다는 글을 본 적이 있었다. 책의 페이지를 사진기처럼 찍어 두뇌에 저장한다는 개념이다. 그 사람은 포토 메모리는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능력인데 꺼내지 못할 뿐이라는 이야기를 했다. 어그로를 끌기 위한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포토 메모리'라는 키워드는 몇 년 동안 머릿속에 맴돌았다. 아마도 그런 능력이 있다면 꼭 가지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어느 날 '포토리딩 슈퍼 기억법'이라는 책의 제목을 발견했다. 몇 년 동안 내 머릿속에 남아있는 "포토 메모리"와 중첩되는 키워드였다. '포토 메모리'에 대한 작은 힌트를 발견하길 바라며 <포토리딩 슈퍼 기억법>을 읽기 시작했다. 과연 내가 생각하던 '포토 메모리'라는 것은 존재하고, 연습하면 키울 수 있는 기술일까?
두뇌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똑같이 기억하지 않는다.
살다 보면 '기억'에 관해 참 기이한 일을 자주 겪는다. 어떤 것은 기억하려 해도 잘 기억되지 않는 정보가 있는 반면, 어떤 정보는 쓰윽 스쳐 지나갔음에도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것들이 있다.
그 이유는 우리의 '두뇌'가 좋아하는 정보는 잘 기억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 '두뇌의 주인으로 살고 있습니까?'라는 책을 읽고 [내가 두뇌인지, 두뇌가 나인지]에 대해 혼란스러운 적이 있었는데, 자연스럽게 "두뇌 = 나"라고 생각하는 게 좋다.
즉, 내가 좋아하는 것에 관한 정보라면 짧게 스쳐만 지나가도 그 정보를 잘 기억하고, 그렇지 못하면 기억에 남기지 못한다는 것이다. 더 확장해 생각해 보면 내가 좋아하는 것은 흥미를 가지는 것이 될 것이고, 흥미를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것보다는 많은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 분야에 대해서는 신경망이 복잡하게 엮어 있어 탄탄하게 되어 있다는 뜻이다. 그렇기에 촘촘하게 만들어진 신경망에 관심 있는 정보라면 빠르게 달라붙을 수 있어 오래 기억하게 된다는 점이다.
<포토리딩 슈퍼 메모리>에서도 여러 번 강조하는 내용 중에 하나는 '두뇌가 즐거운 상태'로 만들어줘야 기억이 오래 남는다고 한다. 이는 무엇인가를 접할 때 내가 그것을 대하는 태도가 기억력의 수준을 결정한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었다.
감정을 이용하면 기억력이 강화된다.
'오감'을 이용하면 오래 기억 남는다는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이 들어본 이야기일 것이다. 사람은 다섯 가지 감각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을 통해 뇌에 정보를 전달한다.
이중 가장 높은 비중을 가진 감각은 '시각'과 '청각'이다. 눈으로 보거나 들어서 뇌로 들어가는 정보가 가장 많다는 뜻이다. 우리가 책을 읽을 때 또는 팟캐스트나 유튜브를 보고 난 후 기억이 오래 남아있는지를 생각해 보기 바란다.
이상하게도 책장을 덮으면 그리고 영상이 끝나고 하루만 지나도 뭘 읽었는지 또는 뭘 봤는지 잘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포토리딩 슈퍼 메모리>를 통해 한 가지 깨달은 사실은 '감정'을 이용해 보는 것이었다. 물론 감정이 정보를 받아들이는 오감에 속하지는 않지만 오감을 통해 만들어진 두 번째 정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가 "주의를 기울인다. 집중한다. 관심을 갖는다. 좋아한다."와 같은 상황은 왜 생길 거라 생각하는가? 그것은 모두 그 과정이 즐겁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감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순간은 오롯이 집중할 수 있다. 또한 그 과정 속에서 행한 것들은 이상하게 기억에 오래 남는다.
흔히 '해마'는 기억의 관문이라고 한다. 오감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단기 기억에 보관했다 사라지게 할지 아니면 장기 기억으로 저장할지를 결정하는 기관이라고 한다. 중요한 사실은 '감정의 중추 기관'이 해마와 밀접하게 붙어 있다는 사실이었다. 이를 활용한다면 일상적으로 받아들이는 정보에 '감정'이 더해지면 장기 기억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모든 정보에 감정을 부여할 수는 없다. 그렇기에 내가 좋아하는 것들 중심으로 기억은 더 강화되는 것이다.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소 큰 '의지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하길 바란다.
포토리딩 메모리는 존재하는가?
책 제목에 인쇄된 포토리딩 메모리는 이 책 전체 분량의 1/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책 속에서 포토리딩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법을 분명히 설명해 주고 있다. 책을 보며 따라 해봤지만 쉬운 일은 아니다. 그리고 몇 번 해보고 포토 리딩이 가능해진다면 세상 모든 사람은 기억력 천재가 되어 있을 것이다.
저자는 포토리딩 메모리를 많은 사람들에게 전수해 줬고, 실제 사례로도 전해주고 있다. '포토 메모리'를 찾아헤맨 나는 보물 지도를 손에 쥐었지만, 보물 지도에 나와있는 섬이 어딘지는 아직 모르겠다.
꼭 포토리딩 기억법이 아니라도 이 책은 충분히 많은 '기억법'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고, 그 이야기만으로도 이 한 권의 값어치는 빛이 난다고 생각한다.
기억에 대해 나의 반성
나는 학창 시절 (대학교 포함) 배운 것들이 거의 기억나지 않는다. 가끔 직장 동료들과 이야기하면 대학 시절에 배운 전공과목에 대해 술술 말하는 사람들도 있는게 신기할 따름이다.
그 원인을 나의 학습 방법과 위에서 나열한 기억의 4단계를 통해서 깨달을 수 있었다. 학생 시절 대부분의 학습은 '글'을 통해 이뤄진다. 교과서, 전공 서적을 읽으면 처음엔 무슨 뜻인지 잘 이해되지 않는다. 선생님의 도움으로 그 의미를 조금씩 이해해 나갈 수 있다. 다음으로 시험을 위해 암기를 시작한다. (나는 백지에 연필심이 닳도록 쓰면서 암기를 했다.) 시험이 끝나면 외운 지식은 금방 휘발되었다. 즉, 나는 4단계로 나아가지 못한 것이다.
이런 학습 방법 때문에 나는 타인 앞에서 말하는데도 주저하는 경향이 많다. 아름답게 포장해 '내성적인 성격', '나서지 않는 스타일'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대중 앞에서 자신 있게 내 기억 속의 정보를 끄집어 내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외우기 까지는 잘 했지만 일상적으로 꺼내는 방법을 전혀 몰랐던 것이다. 그런 방법이 있다는 사실도 몰랐기에 꺼내는 능력을 키워보겠다는 생각도 해볼 수 없었다.
<포토리딩 슈퍼 기억법>에서는 정보를 꺼내기 위해서는 '단서'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기억법으로 말하자면 '연상기억법'에 해당된다. 쉽게 꺼내기 위해서는 기억하려는 정보를 '내가 익숙한 무엇인가'에 연결해서 기억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논리다. 실제로도 매우 효과적이다.
하지만 넘치는 그 많은 정보를 연상할 수 있는 익숙한 것들에 연결하는 건 더 어려운 일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감정'과의 연계라 생각되었다. 두뇌가 정보를 가장 받아들이고 싶은 때, 가장 갈구하는 그런 상태로 만들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게 합리적인 방법이라 생각한다.
마치며,
기억은 단순한 저장이 아니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꺼낼 것인가’에 대한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배웠다.
<포토리딩 슈퍼 기억법>은 마법처럼 한 번 읽고 다 기억하게 해주는 비법서를 기대한 이들에게는 아쉬울 수 있지만, 기억이라는 작용을 뇌의 관점에서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 가능한 방향으로 다듬어가는 데 있어서는 훌륭한 안내서라 생각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기억력’이 아니라, 기억을 다루는 태도이며, 그 태도는 연습을 통해 충분히 바꿀 수 있다는 믿음이다. ‘감정’, ‘의도’, ‘즐거움’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뇌의 문을 두드리는 연습을 계속하다 보면 언젠가 나만의 보물 지도를 완성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솔직한 생각을 담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