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스트링
미치 앨봄 지음, 윤정숙 옮김 / arte(아르테)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살아가는 동안 어느 밴드에든 들어가죠.

밴드의 운명은 거리,의견차, 이혼, 죽음 때문에 대부분 해체 됩니다.


<매직 스트링>中에서......


어린시절.

한 밴드의 라이브 공연을 처음 본 순간, 난 음악에 모든것을 빼앗기고 말았다.

그 밴드는 이 책  <매직 스트링>에서도 거론 된 키스KISS라는 밴드였고, 그 이후 나는 상당한 시간 락 밴드에 열광하는 시간을 보냈었고, 당장 방정식 보다, 멋지게 6현의 기타줄을 연주하는 기타리스트의 이름이 중요했고, 영어 단어 보다는 락 밴드의 앨범명과 노래 제목을 암기하는게 더 중요 했었다.


나에게 첫 밴드는 이 책 <매직 스트링>에서 말하는 가족이긴 했지만, 내가 능동적으로 가입한 밴드는 아마 나와 비슷한 락 밴드의 음악을 좋아하는 친구들의 모임이 아니였을까?


밤세워 공테잎에 그들의 음악을 녹음도 하고, 토론도 하고 그랬으니 어쩌면 수 많은 음악인들과 만나며 불꽃 같은 인생을 산 <매직 스트링>의 주인공 프랭키 프레스트와 비슷하지 않아도 그의 인생의 언저리와는 비슷하지 않았을까?


전설의 기타리스트 프랭키 프레스토의 이야기를 그린 <매직 스트링>

처음 이 책을 보고 과연 프랭키 포레스트라는 기타리스트가 실존 인물인가 하는 의심이 들었다.

그도 그런것이 유명 밴드들이 거론이 되고, 상당히 그럴듯한 모습으로 그려져 실존인물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외국 검색 사이트에서도 찾아 보고 했지만, 결과는 나오지 않았고, 아마도 가상의 인물을 그린것 같다.


앞에서도 간단하게 거론 했지만 <매직 스트링>은 (가상의 기타리스트) 프랭키 포레스트의 인생을 그린 소설이다.

영화 포레스트 검프 처럼, 인류의 역사에 가상의 인물을 넣어 새로운 해석을 하는 이야기라고 하는것이 좋을듯 하다.





이야기는 프랭키 포레스트의 장례식에 그에게 음악적 재능을 선사한 음악 이라는 존재(아마도 신神 같은 존재)가 간단한 소개를 하면서 시작한다.

그리고 프랭키 포레스트에 참석한 여러 음악인들의 인터뷰와 프랭키 포레스트의 어린시절 부터 처음 음악을 접하고, 음악인으로 살아가며 죽을때 까지 이야기를 번갈아 가면서 나온다.

자뭇 지루할지도 모르는 이야기를 이러한 전개로 가독성을 높히고 있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주인공이 부러웠다.

나도 음악을 하고 싶어서 나름 기타와 함께 했었지만,  주인공 프랭키 포레스트 처럼 불꽃 같은 삶을 살지는 못했다.


"저렇게 연주하고 싶어" 라는 책의 첫 마디 처럼 나는 프랭키 포레스트처럼 불꽃같은 음악인의 삶을 살고 싶은 적이 있었다.

물론 음악인으로는 천재적 삶을 살아도 그의 인생은 비참 했다.

책에 대한 스포일러이기 때문에 언급을 하지 않겠지만 그의 가족사가 밝혀 지는 순간 마음이 무척 아파 왔다.


그는 행복한 삶을 살았을까?


<매직 스트링>을 읽어 보면 한장의 멋진 락 앨범을 한장 듣고 난 기분이 든다.

불꽃같은 그의 무대와 그의 인생.

불꽃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더 폭풍 같았던 그의 인생은 어느 앨범과 비교를 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