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숙맥도 괜찮아 용기만 있다면 - 250만 명의 인생을 바꾼 배짱 이야기
이시형 지음 / 풀잎 / 2025년 11월
평점 :
도서를 무료로 협찬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 입니다

숙맥도 괜찮아 용기만 있다면
이시형
2025
풀잎

오랜 시간 관찰한 결과, ‘숙맥’ 유형의 사람은 연기력이 뛰어나 다. 속으로는 절박한 갈망과 외로움을 느끼면서도 겉으로는 아무렇지 않은 척하며, 자연스럽게 행동한다. 주변 사람들은 그가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눈치 채지 못한다. 더 놀라운 건 숙맥인 자신조차 자 기 능력을 믿지 못하고 위축된다는 점이다. 이는 곧 적극성과 창의성의 저하로 이어지며, 인간으로서의 총체적 표현이 억눌리는 결과를 낳는다. 겉으로는 멀쩡하고 전반적인 대인관계에서 큰 문제가 없는 듯 보이지만, 이성 관계에 약한 숙맥들. 그들은 이런 사실을 철저히 감추기에 주변에서도 이를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
“숙맥도 괜찮아 용기만 있다면” 중에서...

지금은 조금 사용빈도가 낮지만 숙맥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되는 단어인적이 있었다.
숙맥이라는 말보다는 쑥맥이였는데 어리숙하고 지나치게 순진한 사람을 (비하하는) 의미로 사용했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쑥맥이 아니라 숙맥이 옳은 표현이고 이것 콩 숙(菽), 보리 맥(麥)이라는 사실도 몰랐던 사실이다.. 콩과 보리, 단편적인 농작물인데 찾아 보니 콩과 보리를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을 사람을 나타내는 말로 누가 알려 주지 않았던 것 같지만 내가 사용하던 의미 그대로 쓴 것 같다.

생김도 전혀 다른데 콩과 보리를 구분을 못하니 정말 어리숙한 의미다. 책의 제목 “숙맥도 괜찮아 용기만 있다면” 은 결국 조금 어리석은, 책에서의 의미는 조용하고 소심하고, 용기가 없는 사람을 의미 할테지만... 용기를 가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했고 책에서도 거론이 되지만 소위 “숙맥”으로 분류되는 사람은 조금은 주눅이 든 사람이 되거나 겉모습만 과장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부족하기 때문에 당장, 혹은 모리기 때문에 보이는 모습에만 신경을 쓰거나 소심한 성격 때문에 그 사람의 모습이 굳어져 버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모습을 지키기 위한 눈치 보기가 오히려 장점이 되기도 한다. 사회를 살아가고 무시 받지 않기 위해서 눈치를 보면서 사회 생활을 적응한다는 것이다. 자존심 상하고 무시를 받지만 적응이 되어 가고 더 버림받음을 막기 위해 자연스럽게 앞으로 나가는 것이 유일한 생존이라고 생각하면서 그 부분이 오히려 사회 생활을 잘한다는 인식을 준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나 역시 그런 부분이 없지 않아 그런 모습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그런 모습을 보이기도 하다.
하지만 정작 자신이 발전하는 모습은 아닐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용기를 내고 자신을 버리고 새로운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서 살아가는 것이 진정한 발전이 있다는 것이다.
“숙맥도 괜찮아 용기만 있다면”에서 말하는 다시 태어나는 9가지 방법은 결국은 숙맥인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로 시작해서, 그들만의 장점도 이야기 하거, 어떻게 다시 태어나는지 알려 주고 있다.
진정한 행복을 위해서 나를 바꾸고 다시 태어나야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용기를 내야 한다.
이 책은 용기를 내어 나 자신을 바꾸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숙맥도괜찮아용기만있다면
#숙맥 #풀잎 #자기계발 #리뷰의숲 #리뷰의숲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