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경제와 공짜 점심 - 네트워크 경제 입문자를 위한 가장 친절한 안내서
강성호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초연결 사회에 살고 있다그저 사회과학 서적에 등장하는 막연한 개념이 아니다현재 우리는 눈을 뜨자마자 스마트폰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네이버나 SNS를 통해 뉴스를 보고 댓글을 단다온라인 쇼핑몰에서 일상품을 구입하고 필요 없는 물품은 당근마켓에 판매하기도 한다또한 배달의민족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시켜 먹는다예전에는 신문을 통해 뉴스를 보고 직접 시장에 가서 일상품을 구입했으며 식당에 가서 식사하거나 전단지의 전화번호를 이용해 음식을 배달시켰다이처럼 현대인은 과거와 다른 일상을 살아가는데가장 중요한 점은 따로 있다.

 

초연결 사회의 네트워크 경제에서는 수익 발생의 원리가 기존 경제 질서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저자는 대한민국의 경제 질서를 관찰하고 감독하는 금융위원회에서 근무하는 현직 서기관으로 우리 사회의 경제 질서가 정보혁명을 통해 변해 가는 모습을 가장 선두에서 지켜봤다그런 그가 일반인을 위한 네트워크 경제 안내서를 출간했다경제 용어에 친숙하지 않거나 배경지식이 없는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매우 쉽게 쓰여진 책이다.

 

이 책은 단순한 경제서가 아니라우리 사회의 작동원리에 관한 이야기다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제가 전통 경제와는 어떻게 다른지네트워크가 만들어낸 새로운 권력은 어떻게 작동하는지왜 이들은 기존의 기득권자들과 대립하는지정보와 데이터가 우리 경제를 어떻게 바꾸어 나가는지에 대한 이야기다그저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는지만을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사회를 바라보는 우리의 식견을 넓혀 주고 우리 사회의 미래와 흐름을 예측하도록 도와준다.

 

수년째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쿠팡은 2021년 3미국 뉴욕증시에 상장해 100조원이 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어떻게 만년 적자기업인 쿠팡은 이렇게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었을까쿠팡은 과연 한국의 아마존이 될 수 있을까카카오그룹의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는 올해 하반기 증시 상장을 앞두고 있다이들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는 높다두 기업의 기업가치는 각각 20~30조원, 10조원 안팎으로 예상된다우리금융지주, IBK기업은행의 기업가치가 약 7조원이니이를 훌쩍 뛰어넘는 가격이다메신저로 출발한 카카오는 간편결제쇼핑택시지도 등 다양한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해 왔다이들은 새로운 금융 플랫폼을 꿈꾸고 있다이들이 금융기관들과 벌이는 경쟁에서 최후의 승자는 누가될 것인가한편와츠앱 메신저와 페이스북 메신저는 세계 메신저앱 시장을 정복했다그러나 왜 중국은 위챗을한국은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을까?

 

이 책은 위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들을 제시한다어떻게 적자기업들이 높은 기업 가치를 평가받고 있으며플랫폼 기업의 작동원리와 이들이 구사하는 경영전략이 전통적인 파이프라인 기업들(전통적 기업들을플랫폼 기업과 대비해서 일컫는 말)과 어떻게 다른지를 알려준다이 책은 새로운 경제질서에 대한 책이다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플랫폼 기업이 무엇인지네트워크 경제는 어떻게 작동하는 지에 대한 훌륭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또한지금도 계속하여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카카오와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 기업의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야할 필독서다.

 

네트워크라는 말은 무수히 많이 들어봤지만그 뜻을 정확히 이해하는 사람은 드물다. 24시간 내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살면서도 무심코 지나쳐 버린 탓이다그러나 이 사회가 네트워크로 인해 많은 것이 달라지고 있는 이상이를 이해하지 않고 산다면 뒤처질 수밖에 없다연결 자체가 권력이 되고 돈이 되는 현대 사회의 작동원리를 이해하지 못한 사람은 결국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1장은 정보혁명이라는 화두로 출발해서 양면시장 이론을 토대로 플랫폼 기업이 만들어내는 네트워크 경제의 특성을 살핀다. 2장은 네트워크 경제의 주인공이자 새로운 경제 권력으로 진화한 플랫폼 기업과 뉴파워의 부상에 대해 다룬다3장은 플랫폼 기업들이 어떠한 경영전략을 구사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4장은 정보와 데이터가 금융자본주의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미래 금융의 모습을 어떻게 바꿀지에 대해 논한다. 5장은 미래를 대비해 우리가 고민해 볼 만한 새로운 제도와 소유권이라는 개념 위에 서 있는 기존의 자본주의가 존속할 수 있을지 살펴본다.

 

네트워크 세상에 살면서도 미처 알지 못했던 네트워크 경제를 움직이는 기본 원리부터 앞으로 일어날 변화까지 알기 쉽게 설명해 사회를 바라보는 식견이 넓고 깊어질 것이다나아가 우리 사회의 미래와 흐름을 예측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플랫폼 경제에는 공짜 점심이 있다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은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There i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모든 일에는 항상 그만한 대가가 따른다는 뜻이다그러나 네트워크 경제에는 공짜 점심이 있다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카카오톡도 여러 사례 중 하나다비용을 지불하고 문자를 보내는 것이 당연하던 세상을 살다가 이제는 훨씬 편리한 실시간 문자 대화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하고 있다그러면서도 이런 공짜 점심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원리는 깊이 고민하지 않는다저자는 플랫폼 기업이 가진 양면시장의 속성으로 그 이유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양면시장은 비용을 지불하는 쪽과 혜택을 보는 쪽이 다르다그래서 혜택을 보는 쪽은 거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이렇듯 과거에는 금과옥조로 여기던 자본주의 원칙이 부정되는 세상에 이미 우리는 깊숙이 들어와 있다.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벌써 네트워크 경제의 한가운데에 들어서 있다지금 세상은 예전에 모두가 상식처럼 받아들였던 자본주의 기본 원리가 작동하지 않는다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장 원리에 따라 정해지지 않고 개인의 소유권보다는 사회적 공유가 더 중시된다시장 독과점은 공정 경쟁을 저해하는 요소로 철저하게 규제해 왔지만 이제 거대 플랫폼 기업의 시장 독점은 당연시되고 있다그 외에도 과거와는 달라진 경제법칙을 나열하자면 끝이 없다모두 네트워크 경제 효과에 따라 파생된 현상들이다.

이런 변화를 깨닫거나 받아들이지 못하고 지금까지 살아왔던 관성대로 경제활동을 이어 간다면 그 생명력은 그리 길게 가지 못할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네트워크 시대에 새롭게 등장할 새로운 권력 집단은 누구인지네트워크 경제는 어떻게 작동하는지우리는 네트워크 시대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등에 관해 다양한 사례와 친절한 말투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준다많은 독자가 이 책을 통해 초연결 사회와 네트워크 경제의 속성을 이해해서 다가오는 미래에 한발 앞서가는 경쟁력을 갖추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