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는 열심히 하는데 왜 시험은 못 보는 걸까? - 4시간 만에 성적을 확 올리는 멘탈 트레이닝
이시스.이경희 지음 / 예문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책 제목이 와 닿지요...?

저도 그랬어요.

공부는 열심히 하는거 같은데 근데 정작 시험은 왜 못보는걸까? 궁금했거든요.

혹시 공부법이 잘못인가? 아님.. 내가 잘못 코치를 해주었던걸까? 등등의 여러 생각등을 가지고 읽어보게 되었답니다.

아이공부하는거 진짜 엄마들이 맨날 고민하는거잖아요? 그래서 엄마들 만나면 학원 이야기 , 공부 이야기, 학습지 이야기, 문제지 이야기 , 자격증, 공부 정보 등등등 여러 이야길 하잖아요?

저 역시 그런 엄마라서, 또 큰애는 늘 초보 엄마이기 때문에 경험이 없어서 더 그랬기 때문에 공부에 대해 할이야기가 많았어요. 대한민국 엄마들이라면 다 그런거 같아요.

 

이 책을 읽으면서 다양한 정보를 알게되었거든요.

제가 성격이 급해서 정보를 알고 싶어서 먼저 목차를 보고 훅 훑어 보고 읽어보고 다음에 제가 읽고 싶어하는 페이지를 찾아 읽어보고 했는데

이 책에서는 뇌호흡까지도 적혀 있어서 다른 책과 다른 정보를 많이 주었던거 같습니다.

 

공부는 자신감이라고 하잖아요?

내가 공부를 하고, 그 만큼의 내 모습을 상상해 보고, 내가 이룬 다음의 기쁨도 맛본다면 아이들은 공부를 엄마,아빠가 해라고 해서가 아니라

공부를 할려고 하는 스스로 학습법이 가능할꺼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들에게 소소한 자기 만족감, 성취감을 많이 만들어 주어야겠다 라고 생각했답니다.

 

공부를 하는데 있어서의 여러 이야기를 읽어보면서 아이들에게 지금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었는데요.

아이에게 필요한것이 무엇인지,

무조건 공부만 해라고라고 말하지 않고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공부 성취감을 맞볼 수 있도록 지도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을은 풍성해 - 가을 생각이 자라는 키다리 교과서
박현숙 지음, 김미현 그림 / 키다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을이라는 계절에 맞게 읽어볼 수 있는 책이에요.

어린이 책이고, 저학년의 시건에 맞게 만든 책이여서 아이와 읽기에 딱 좋았답니다.

 

가을..

지금 가을인데요.

마침 추석도 있었고 가을 하면 딱 떠오르는것들이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한가위가 전 생각났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와 가을에 대해 다른 이야기도 해볼 수 있었던거 같습니다.

얼마전 아이가 학교갔다오다 도토리를 주워왔는데 우리 동네에 도토리가 생기는 나무가 있다는게 신기했어요. 역시 가을은 수확의 게절인듯..합니다.

 

또 아이가 고구가가 먹고 싶다고 해서 계절 식물이니 기다려봐 했는데 얼마전 시장가니까 고구마가 있어 사왔었거든요. 아이가 이 책 보고 "엄마, 이제 고구마 먹어도 되지?" 하더라고요..ㅎㅎ

 

여러가기 이야기가 담겨있어요.

4계절중 가을에 관한 이야기니까요. 당옇니 여러 이야기가 담겨 있겠지만,,

이제 곧 단풍도 드는거겠지요?

나무 잎도 떨어지고..

그걸 책에서는 지는거라고 표현했더라고요.

이렇게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은 가을을 느껴볼 수 있었어요.

 

그걸 동화로 읽어보니까 지식책인 느낌이 들지 않았어요.

아이들은 재미난 이야기로 받아들일꺼 같아요.

특히 아이는 밤하늘에 별을 보고 싶다고 하더라고요.

시골에 가면 밤하늘에 별이 반짝 거리거든요.

그걸 기억하더라고요. 이렇게 추억도 이야기 할 수 있는 책이였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학원을 이긴다 - 사교육 없이 1등 하는 아이들의 공부 비결
정하나 지음 / 문예춘추사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살아가는 대한민국에 초등생이 아니라
유치원생들도 학원을 다니고 있으니..
어찌보면,, 책 제목처럼
엄마가 엄마의 힘이 없으면
우리 아이들은 아주 어릴때 부터 학원을 돌고 돌고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엄마는 아이들을 사랑하지요?
저 역시 그래요. 사랑한다고 합니다. 사랑합니다. 그런데.. 사랑의 표현법이 공부를 시키는 것이니.. 어찌보면 우리 아이들은 단지 대한민국에 태어난 죄뿐이 없는데.. 그렇기 때문에 힘든거 같아요.
또한 그래서 아이들 역시 힘들기 때문에 대한민국 아이들이 행복지수가 꼴찌가 아닐까? 싶어요. 학교에서 조차도 체육시간을 늘려 아이들이 숨을 쉴 수 있도록 해준다면 더 좋을텐데 그것도 어렵네요.
 
몇일전에 교육부에서 발표한 수능시험..
교육이 백년지대계라고 했던가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떻게 된게 정권이 바뀌면, 교육부 장관이 바뀌면 대입시험 제도가 바뀌는건지..우리 아이가 큰애가 있으니 더 신경이 쓰이네요. 지금 현재 중학교 3한년 아이들이 해당이 된다고 하던데요. 곧 멀지 않은 이야기지요.
 
 
이 책을 읽으면서
표지의 사진처럼 , 또 책 제목처럼 힘을 얻어가고 싶었답니다.
이 책에서 특히 파트 2에 사교육없이 엄마가 키워 성공한 아이들의 이야기가 적혀 있었는데 물론 워낙 유명한 아이들이라 알고 있었기도 했지만 읽으면서 마음을 다시 다잡는 시간도 가졌던거 같습니다.
또 역피라미드 학습법에 초등 저학년, 초등 중학년, 초등 고학년 별 학습법이 적혀 있어서 내 아이의 학년에 맞는 공부법도 따로 배우는 그런 기분도 들었던 책이에요.
 

엄마가 용감하게 엄마 자신을 믿고 아이들에게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겠구나 싶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 10분 맞춤법 따라쓰기 1단계 - 기초 다지기 하루 10분 초등 따라쓰기
키즈키즈 교육연구소 지음 / 미래주니어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아이가 2학년이여서 꼭 필요한 책이였어요.

매주 금요일마다 받아쓰기 시험을 학교에서 보더라고요. 2학기때도 보더라고요.

2학년까지는 받아쓰기 시험을 보는듯 하네요.

그렇다 보니..

집에서 공부도 하고 가긴 하는데

뭐 꼭 100점 맞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받아쓰기 하면서 맞춤법도 배우고 띄어쓰기도 배우는 과정을 2학년까지 가지는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 책 보면서 저도 어려운게 많다는걸 느꼈어요

평소 나는 어떻게 썼나 다시 한번 확인도 하게 되고,,

하루 10분 맞춤법 따라쓰기 1단계에는

맞춤법이 100개가 있으니까 학교에서 시험보는 받아쓰기가 아닌

집에서 엄마표로 맞춤법을 진행해야겠구나 라고 생각했답니다.

 

 

또 국어숙제로 몇일전에 국어 교과서에 나온 단어를 가지고 짧은 글짓기를 해와라고 하더라고요. 이거 하면서 국어책도 찾아보고 단어의 뜻을 찾아보고 또한 그 단어를 가지고 짧은 글짓기를 했는데

이 책보니까 단어를 이용해서 이럴때 이렇게 하라고 2개씩 글짓기를 해두어서

아이가 단어를 어떻게 이용하는지도 배울 수 있게 구성이 되어 있어서

초등 2학년 아이들에게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정말 책 제목 그대로 따라쓰기만 하다보면 아이는 저절로 맞는 표현도 배우고, 맞춤법도 배우니 정말 좋은 책인거 같아요. 아,,맞아요. 바른 글씨체도 알게되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발표왕을 만드는 슈퍼수학 2 - 스토리텔링 도형 수학발표왕을 만드는 슈퍼수학 2
이경희 지음, 최선혜 그림 / 풀빛미디어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아이가 이 책 보고

궁금해 하던 수학문제도 풀었답니다. 마침 전날에 피보나치수열을 공부했었거든요. 수학 문제지에 나왔었는데

수학발표왕을 만드는 슈퍼수학에 나와 있길래..아이랑 같이 읽어보고 풀었더니 더 쉽게 받아들여서.. 요즘은 정말 좋은 책이 많이 나오는구나..싶기도 했고,

요런 책들을 많이 읽히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 다시 느꼈던거 같아요.

 

다양한 이야기들이 있거든요.

당연하다고 생각했던거들이 다 원리가 있다는것도 다시 생각하게 되었어요. 엘리베이터 매일 탈때 당연히 1층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했었거든요.

 

수학은 학습지를 풀고,

문제지를 풀고,

연산을 푸는것이 아니라 수학으로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것도 놀라웠고,

저도 몰랐던 수학의 이야기들을 알게되었던거 같습니다.

큰애가 배우는 파이(3.14)는 수학 문제 풀때만 있는줄 알았더니 파이데이가 있다니.. 그것도 몰랐거든요. 정말 수학은 단순히 우리가 배울때 산수만 생각했었던거 같아요. 특히 초등수학에 있어서 연산이 많은 부분을 차지 하니 더 그렇게 느꼈던거 같습니다.

 

실제로 아이가 문제지만 푸는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수학을 접하는 방법을 알게 되어서

늘 수학이 어렵다고 투덜거리던 둘째에게 수학의 원리라고 해야할까? 수학이 생겨나게 된 이야기라고 해야 할까? 그런 부분을 알게 해준거 같아요. 간지런 부분을 글어준 기분이 들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