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문화재에도 봄은 오는가 배우자 역사 1
서해경 지음, 이선주 그림 / 풀빛미디어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이 책을 읽을면서 느낀 점..

아무리 우리나라가 일본의 침략에 우리나라의 주권이 상실하고 일본이 우리나라를 지배한 적이 있었었떤 시절이 있었지만..

우리나라의 문화재를 이렇게나 많이 훔쳐갔는지 몰랐어요.

몰랐다고 해야 되겠지요. 그러나 .. 그 이면에 참 부끄럽더라고요.

지금도 일본이 우리나라의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고 있으나.. 우리나라보다 힘이 센 일본이라는 이유만으로 우리나라는 뭘 하고 있는지,, 일본의 잔재에 일본이 우리나라를 지배할때 떵떵거리던 매국노들의 자식들이 더 잘살고, 우리나라를 위해 독립운동을 했던 자손들은 못사는 나라가 우리나라라고 하니까 한없이 부끄럽고, 미안하고,

지금이라도 똑바로 알아야겠다.. 싶었던 책이였어요.

세상에나..

가야의 무덤중 보존 된 무덤이 하나도 없다니...

이럴 수가..

이런걸 망연자실하다고 해야겠지요.

우리나라의 많은 선조들이 그 사실을 알고도 일본 치하에서 얼마나 고통을 받고 살았는지 사실이, 자료가 지금도 말해주기에

우리것을 빼앗기면서도, 훔쳐가는걸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빼앗길 수 뿐이 없었던 현실이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우리 역사에 대한 프로그램이나, 수많은 드라마에서

우리 역사를 알고, 이야기해주고 있으나,,

우리 문화재가 유출된 사실에 대해서는 많이 몰랐던 현실에서 다시 한번 우리가 강대했던 역사적 사실에만 포커스를 맞추지 말고,

우리의 아픈 역사에도 관심을 가져서

빼앗긴 우리 문화재를 다시 찾아와야겠다 싶었꼬,

우리 소중한 문화재가 지금 우리나라에서, 앞으로도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보존되어서 우리 역사를 이야기 해주는 그런 일들이 계속 이어나가길 힘을 써야겠다고 느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