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오의 정사각형 - 이집트 소년 아메스의 재미있는 기하학 이야기 초등 저학년을 위한 과학도서관 5
안나 체라솔리 지음, 데지데리아 귀치아르디니 그림, 김효정 옮김 / 봄나무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하학이 뭐지?라고 물으면 뭐라고 대답해야 하는지..모르겠네요.

이 책은 이 세상에 기하학이 처음 생겨난 이야기를 접하게 해주는 책이여서 엄마입장에서 아이에게 읽어줄 첫 책으로도 좋은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고대 이집트 하면 문명 발달을 떠오르는데, 문명이 발달했으니 학문적으로 발달을 했을꺼란 짐작을 하면서 읽었어요.

 

이 책에선 소년 아메스가 나오는데요.

우리 아이 또래 아이의 이야기를 통해 이집트에서 어떻게 기하학이 생겨났는지 알 수 있는거 같습니다.

 

기하학이 이집트 말로 땅을 잰다라는 뜻을 가졌다고 하니..

새로운 사실도 배워갑니다.

 

이집트 하면 나일강이 떠오르는데요.

나일강이 범함하면 얘서 까꾼 채소밭의 경계가 무너지니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 생각을 하게 됩니다.

 

매듭을 짓고 아이들이 삼각형도 만들고 사각형을 만드는 장면이 그림으로 그려져 있어

어제 저도 아이랑 같이 매듭을 지어 만들어 보았어요.

삼각형, 사각형도 만들어 보았어요.

정사각형도요.

 

나중에 아이들이 질문을 하지요?

그 당시에는 정사각형을 만들지 못했다고 해요. 정사각영은 지금은 당연히 만들 수 있는데 그 당시 사람들은 생각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수학적 흥미를 이 책이 아이들에게 이끌어 주고 있는 책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집트 하면 이제 수학의 발달도 떠오를꺼 같아요. 이렇게 질문을 하고 답을 하는 과정을 통해 수학적 발달도 생겼을꺼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