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담은 한글 - 유행어 사용이 한글을 해치는 일일까? 초등 과학동아 토론왕 9
이현정 지음, 임성훈 그림 / 동아엠앤비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 한글날이 이제 내년부터 공휴일로 바뀌었다고 하네요.

물론 공휴일이여서 좋지만,,

그보다,, 우리가 매일 쓰는 한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중요함을 깨우쳐주는 날이기에..

그리고 기억해야 하는 날이기에 뜻깊은 날이 되어주리라 생각이 들고, 아이랑 왜 쉬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 수 있을꺼 같아요. 그날만이라도 이렇게 좋은 한글에 대해 책을 찾아 읽어보고 세종대왕님의 업적도 읽어보고 알아보고 해야겠구, 세계에서 인정받는 우리나라, 우리글에 대해서도 공부하는 시간도 가져야겠어요. 일기도 써보고요^^

 

 

이렇게 그림처럼

한글을 자기언어로 받아들여서 공부하는 곳이 생겨나고 있지요.

참,, 자랑스런 일이에요.

피부도 틀리고, 사는 곳도 틀리지만,

함께 이야기 할 수 있는 공통점은 바로 한글을 사용한다는 것인데요. 우리나라 우리언어라서 더 자랑스럽네요.

이 책의 제목처럼, 세계를 담은 한글이 아닌가 싶어요..^^

한국어로 사랑해요 라고 인도네시아 부통섬의 아이들은 이야기 하겠지요..ㅎㅎ

 

 

 

아이가 뱃속에 있을때 엄마는 끈임없이 이야길 들려줍니다.

사랑해 라는 말도 하고, 오늘 있었던 이야기도 하고,,

이렇게 태담을 하다,,

아이가 태어나면,, 또 한글로 이야길 하지요. 사랑해..라는 말도 하고,, 다양한 이야기 꺼리들을 이야기 합니다.

그때는 아기들이 보고 들을텐데요.

그리고 때가 되어 말을 배우고 글을 배울때 우리는 한글을 가르치죠.

ㄱ,ㄴ,ㄷ..도 가르치고,,

아,야,어,여,, 도 가르치고,,

다양한 동화 속에서도 이야길 통해 아이랑 대화하고, 교감합니다.

바로 한글로 말이죠.

그래서 우리가 알아야 하는 언어가 바로 한글이 아닐까요?ㅎㅎ

 

 

자랑스런 한글,,

이제는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었어요. 이 책을 통해서요.

 

초등과학동아 토론왕 시리즈를 통해서..

우리 아이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도 쑥쑥 쌓고,

토론도 배워서

현대 사회에서 유능한 인재로 성장하길 바래봅니다.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님도,, 우리 후손,자손들을 자랑스러워 하실꺼에요..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