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토끼와 채송화꽃]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아기 토끼와 채송화 꽃 ㅣ 신나는 책읽기 34
권정생 지음, 정호선 그림 / 창비 / 2012년 4월
평점 :
'아기 토끼와 채송화꽃(권정생 동화집, 정호선 그림, 창비 펴냄)'은
'강아지 똥'의 작가로 유명한 권정생 선생님의 추모 5주기 기념 동화집입니다.
창비출판사의 초등 1,2,3학년을 위한 신나는 책읽기 시리즈의 34번째 책인데,
제가 보기엔 초등1~2학년 아이들이 읽으면 좋은 글밥인 것 같아요.
권정생 할아버지는 꼭 동화처럼 사셨던 분이에요.
할아버지의 오두막에는 개구리와 닭이 들락날락했고
동네 어린이들도 오두막을 찾아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그 이야기들이 동화가 되어 나왔어요.
할아버지는 작은 것도 함께 나누는 순수한 마음을 가만가만 다정히 들려줍니다.
한없이 착하고 사랑스러운 동화 네 편을 만나 보세요.
'아기 토끼와 채송화꽃'은 아버지를 일찍 여위고 장에 나가 일하는 엄마가 오실 때까지
집에서 혼자 기다려하는 주인공 명수의 이야기입니다.
이야기의 시작은 '어쩌다 보면 엄마의 눈도 빨갛게 될 때가 있습니다'로 시작되지요.
죽은 남편을 그리워하며 눈가가 빨개진 명수 엄마와
혼자 있을 명수를 위해 시장에서 사 온 아기 토끼의 눈이 빨간 것을 대조시켜
엄마도 아기토끼도 가만히 소리 안 나게 울어 눈이 빨개진다고 명수는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헤어져 산다는 것에 대한 슬픔을 아이들에게 넌지시 알려주고 있어요.
명수는 아기 토끼를 찾아 헤맬 엄마 토끼를 상상속으로 그려내며
학교 갔을 때 혼자 있을 아기 토끼가 외롭지 않게 채송화꽃도 토끼장 앞에 둡니다.
그러면서 아기 토끼와 채송화, 둘이 어떻게 놀았을 지 의인화시켜 섬세하고 생동감이 넘치는 글로
아이들의 마음 한 켠이 따뜻해지고 글 속에서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것 같아요.
두 번째 '까치골 다람쥐네'은 골프장을 만들기 위해 산을 깍아버린 사람들이 남기고 간 자리에
겨우 산에 남겨진 알룩이네 다람쥐 식구들이 열심히 산에 도토리와 밤, 개암을 심는다는 내용입니다.
다람쥐는 겨울잠을 자기 위해 열매를 모은다고만 생각했는데
이렇게 온 산을 푸르게 나무들이 자라 수 있게 한다는 사실에 아이들은 그저 놀라워 합니다.
환경보호에 대한 이론은 잘 알고 있지만 실천을 못했던 모습과
우리의 편의를 위해 너무나 아무렇지 않게 산림을 훼손하는 모습을 반성해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알룩이네 다람쥐 가족만으로는 해낼 수 없었던 일들을
백 마리도 넘는 다람쥐들이 모여 부지런히 심는 모습을 보며
그들의 착한 마음씨와 혼자가 아닌 더불어 산다는 의미도 함께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또야 너구리의 심부름'과 '밤 다섯 개'는 같은 주인공이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또야 너구리의 심부름'에서 또야는 엄마의 심부름을 하면서
심부름 값이 아닌 그냥 100원을 덤으로 받습니다.
그런 대가없는 꽁돈을 받으며 즐거워하는 또야는 심부름을 그냥 하는 거라며
자신이 착한 일을 한다는 것을 주변 사람이 알아주고 칭찬해 주길 바라지요.
엄마의 심부름을 하는 착한 일도 하고 비록 100원이라는 작은 돈이지만 그 돈으로 사탕을 사서
엄마와 나눠먹는 모습이 너무 예쁜 또야의 이야기랍니다.
'밤 다섯 개'에서 또야는 엄마가 삶아준 밤 다섯 개를 친구들과 나눠먹는 이야기에요.
친구들과 나눠 먹으라는 엄마에 말에 또야는 친구들에게 밤을 하나씩 나눠 주다보니 자기 것은 안 남았지요.
애들이 맛있게 먹는 걸 바라보다 또야는 그만 "으앙!"하고 울었는데
당황한 아이들도 그만 또야를 따라 울고 맙니다.
울음 소리를 듣고 나온 또야 엄마는 그런 아이들을 바라보며 웃음을 짓다
얼른 앞치마 주머니에서 삶은 밤 한 개를 꺼내 또야에게 줍니다.
또야의 모습을 보며 가지고 싶은 것을 솔직히 말하고 싶고,
자신이 잘한 일에 대해서는 칭찬을 받고 싶어하는 아이들의 동심이 담긴 이야기라
아이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 단편들은 내용 이해를 도와주는 부드러운 삽화와 실감나는 대화체,
상상력을 더해주는 의인화된 동물들 모습, 우리 정서가 담긴 일상 이야기로
아이들에게 따뜻한 감성을 전해줍니다.
일상속에서 사소한 것 하나 놓치지 않고 생명을 불어넣는 글들을 보며
아이들과 자연을 사랑했던 권정생 선생님의 순수하고 아름다운 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