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을 만든 여자 1
신봉승 지음 / 다산책방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수대비가 비록 종편이지만 다시 드라마로 한다고 하니(그것도 유력 조연이 아니라 아예 주인공으로) 아무래도 책 역시 다시 나온 모양이다. 신봉승과 이수광이 각각 2권짜리와 1권짜리로 책을 냈는데,아무래도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를 만든 작가이기도 해서 신봉승의 왕을 만든 여자를 보게 되었다. 물론 2권까지 전부.

 

서두는 어린 며느리 한씨가 수양대군저의 하인들을 엄히 다스리는 것에서 시작된다. 훗날 세조가 반농담 반진심으로 '폭빈'이라 부를만큼 학식 드높고 내외에 모두 엄격했던 한씨다운 면모. 그녀는 어지럽게 돌아가는 정국속에 감히 시아버지께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만큼 대담하고 총명했다. 당시 상황은 모두 잘 아는대로 문종 말기와 단종 시대로 이어지는 격변의 시기-신하들과 왕숙들의 대결이 목을 걸고 이뤄졌던 때다.

 

승자는 세조. 하여 한씨도 세자빈이 되지만 남편 의경세자가 너무 허약했던 탓에 애 3명이 딸린 과부가 되고 수빈이 되어 물러난다. 그러나 한명회와 사돈을 맺고 정희왕후도 그녀에게 의존했던만큼 훗날 화려하게 인수대비로 복귀한다.

 

물론 그녀는 결정적으로 폐비 윤씨에게 너무나도 가혹했다. 스스로 연산군의 비극을 잉태했으니까. 소설은 정사엔 나와있지 않지만 민간인들에겐 너무도 잘 알려진 장면,즉 폐제헌왕후 윤씨가 성종에게 할퀸 자국을 내고, 연산군이 인수대비를 들이받아(여기선 밥상을 던져 가슴에 맞추는 것으로 나옴) 결국 인수대비가 앓다가 죽는 것으로 끝난다.

 

인수대비가 총명했던 것은 부정할수 없을 것이다. 그녀가 자신의 상황에서 스스로와 아들을 위해 절치부심했던 것도 미뤄 짐작할수 있다. 그러나 그뿐......여자들을 스스로 유교윤리에 가두고(내훈을 지어 모든 여자들에게 의무적으로 읽게 했으니)-또 며느리를 죽이고 손자를 구석에 몰아넣어 온나라를 혼돈에 밀어넣은 원인도 따지고 보면 인수대비가 아닐런지?

 

역사에 가정은 없으나 인수대비가 연산군과 폐비 윤씨에게 조금 더 따스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새삼스레 든다. 아울러 그건 것은 차치하더라도 이 책 자체는 재미있었으니 다른 분들도 읽어볼만 할 것이다. 오탈자도 거의 눈에 띄지 않았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