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공주실록 - 화려한 이름 아래 가려진 공주들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공주라면 마냥 화려하기만 했을 거라 막연히 생각된다. 사실 권리도 있지만 여자인 공주인지라 의무에 휩쓸려 이리저리 부왕이나 신하들의 뜻대로 시집 가고 휘둘린 경우도 많았을터. 이 책의 일곱 공주는 그중에서도 가장 파란만장했던 공주들을 골라 선보이는 책이라고 한다. 

첫번째는 부마 간택의 시초가 되었던 태종의 공주. 이름은 기억이 안나는데 일부러 과부의 아들에게 태종이 시집을 보냈다고 한다. 남편과 뜻이 잘 맞지 않아 고생 끝에 21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죽었지만...아들은 남이 장군의 부친이 되었고 딸은 신사임당의 조모(던가 모친이던가)가 되었으니 그나마 후손 복은 있던 셈이다. 

두번째가 아마 최근 공주의 남자로 매우 유명세를 타고 있는 경혜공주! 삶 자체가 드라마보다 극적이었던 비운의 그녀. 기록상 정미수라는 아들 1명과 신원미상의 딸(아마 일찍 죽었으리라 추정됨)을 두었는데,동생도 남편도 비운에 갔으니 얼마나 마음 고생이 심했을까. 게다가 자식을 위해 나중에는 세조에게 고개를 숙여야했고... 

그외 효종이 양녀로 삼아 청나라 친왕 도르곤에게 시집 보냈던 의순공주. 인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인조 사후 버릇없는 그 행태로 인해 쓸쓸한 말년을 보냈던 옹주. 또 선조 소생의 화완옹주(이쪽도 드라마나 책속에서 매우 유명한 처지)라든가 조선의 마지막 옹주였던 덕혜옹주까지. 특히 덕혜옹주는 나라가 힘이 없을때 태어나 부친이 비명에 가고 본인도 강제로 일인에게 시집 가 정신병원에까지 들어갔을 정도니,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러웠을런지. 

당대 최고의 여성이었으나 권리만큼 힘들었을 공주들. 착하고 현명한 공주도 있었고 못되고 제멋대로인 공주도 있었다. 이 책을 통해 그런 공주들의 삶을 조금이라도 엿볼수 있어 많은 배움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