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상사로 본 중국왕조사 - 한 권으로 읽는 오천년 중국왕조사
이동연 지음 / 창해 / 2022년 11월
평점 :
우리나라 역사 속을 살펴보면 중국과의 관계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현재 저자는 글로벌 최강의 지위를 두고 미국과 경쟁 중인 중국을 잘 알아야 대응할 수 있기에 중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오천년 중국왕조사를 한 권으로 읽을 수 있다니 호기심에 읽어보게 되었다. 우리가 역사를 알아야 하는 것은 과거의 역사 속 흥망성쇠의 내용을 이해하며 미래를 대비할 수 있기에 읽어야 하는 것 같다.
한 나라의 역사를 한 번에 읽기는 쉽지 않지만 수 없이 많이 나오는 각 나라의 특징을 알 수 있는 책이였다 역사가 긴 만큼 사건들이 많았고, 그 사건들 속에서 뛰어난 인물도 많았다고 볼 수 있다.
그 중 나에게는 가장 익숙한 공자와 맹자 등 현자들이 많이 나왔던 춘추시대의 역사를 더욱 흥미롭게 읽게 되었다. 더군다나 중국의 자민족을 높게 보는 중화사상의 기반은 춘추시대의 유교와 도교를 바탕으로 했기에 많은 이해가 필요해 보였다.
그 중 나에게는 가장 익숙한 공자와 맹자 등 현자들이 많이 나왔던 춘추시대의 역사를 더욱 흥미롭게 읽게 되었다. 더군다나 중국의 자민족을 높게 보는 중화사상의 기반은 춘추시대의 유교와 도교를 바탕으로 했기에 많은 이해가 필요해 보였다.
"치수가 물길을 뚫는 채용소도이듯이, 치민은 누구나 하고 싶은 말을 다 하게 하는 창소욕언입니다.
물길을 막는 것보다 백성의 입을 막는 것이 더 위험하니 한 번 터지면 천하가 무너집니다."
주나라 10대 여왕이 즉위하면서 공포정치를 폈고 서민의 경제 기반을 허무는 정책을 펼치며 백성들의 불만을 막는다며 길에서 나누는 사사로운 대화도 금지했다고 한다.
신하의 조언도 무시한채 정치를 하던 중 기록상 최초의 민란 '국인의 난'이 일어났고 여왕이 도망치면서 공화정치를 펼치게 되었다.
여왕과 유왕이 주나라를 정치하며 무너지기 시작했고 서주가 끝나고 동주 '춘추시대'가 시작된다. 춘추시대는 주나라 전체의 정체성보다 각 제후국의 독특한 토착 문화가 중요해 지며 제후들간의 갈들이 심화되는 시기였다.
" 춘추 사회를 움직이는 근본 요인은 두 가지, '주왕실의 약화'와 '각 제후의 독자성 강화'였다."
제나라의 장공의 유년 시절 어머니의 차별과 미움이 있었지만 아버지 무공의 긍정적 지지로 어려운 환경을 승화시킨 왕이 되었다.
장공 이후 제 환공의 최고 절정기가 되며 주 왕실 5금법을 정하고 제후들과 맹약했던 내용이
춘추시대의 가정, 교육, 약자 구휼, 인사제도, 경제등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제나라, 진나라, 북남의 진, 초나라 서로간의 대립과 패권 다툼이 있었고 4대 강국이 소강 상태가 되며 노자와 공자가 등장한다.
공자에서 시작된 유교 사상과 노자의 도교 사상의 다른 견해를 들으며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맹자의 성선설, 순자의 성악설 등 춘추 시대의 사상과 그 시대의 자세한 배경과 설명을 읽을 수 있었다.
책 한 권으로 많은 역사를 실을 수 있을까 생각했지만 기우였다.
나라가 설립되면서 당시의 평화롭고 발전했던 과정 그리고 쇠퇴하는 시기의 어려웠던 점과 무너지는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중국의 역사와 시대별 사상을 살펴볼 수 있어 유익하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이다.
[창해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
제나라의 장공의 유년 시절 어머니의 차별과 미움이 있었지만 아버지 무공의 긍정적 지지로 어려운 환경을 승화시킨 왕이 되었다.
장공 이후 제 환공의 최고 절정기가 되며 주 왕실 5금법을 정하고 제후들과 맹약했던 내용이
춘추시대의 가정, 교육, 약자 구휼, 인사제도, 경제등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제나라, 진나라, 북남의 진, 초나라 서로간의 대립과 패권 다툼이 있었고 4대 강국이 소강 상태가 되며 노자와 공자가 등장한다.
공자에서 시작된 유교 사상과 노자의 도교 사상의 다른 견해를 들으며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맹자의 성선설, 순자의 성악설 등 춘추 시대의 사상과 그 시대의 자세한 배경과 설명을 읽을 수 있었다.
책 한 권으로 많은 역사를 실을 수 있을까 생각했지만 기우였다.
나라가 설립되면서 당시의 평화롭고 발전했던 과정 그리고 쇠퇴하는 시기의 어려웠던 점과 무너지는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중국의 역사와 시대별 사상을 살펴볼 수 있어 유익하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이다.
[창해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