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를 바꾼 10가지 약 ㅣ 세계사를 바꾼 시리즈
사토 겐타로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5년 8월
평점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역사에 만약은 없다.라고 한다. 당연히 역사는 있는 그대로를 전달해야만 하지만 그것만 있었다면 그 이상의 상상과 재미가 더해졌을까, 읽는 과정에서 지금과는 다른 세계를 상상해 가며 만약 달랐다면 어떠했을까, 흥미로움을 가지며 읽어 볼 수 있는 이야기이다.
현대인에게 필수품인 된 약, 지금은 쉽게 구할 수도 있지만 약을 찾고 발견하기까지 어떠한 과정이 있었을까 생각하며 읽게된 책이다. 책 안에는 세계를 바꾼 10가지의 약을 소개하고 있다.
영양제인줄만 알았던 비타민C는 의약품이라고 한다. 지금은 쉽게 한 알의 약으로, 또는 음식으로 섭취할 수 있다고 알고 있지만 알게 되는 과정 또한 쉽지 않았다.
15세기 대항해시대에 배를 타고 다니며 가장 많은 병은 괴혈병이라고 한다. 오랫동안 괴롭혔던 괴혈병을 영원이 끝낸 영웅은 영국의 해군 소속 군의관 제임스 린드였는데 그는 실험을 통해 가설을 세워 감귤류는 괴혈병의 특효약이라는 것을 증명해낸다.
당시에는 사람의 심리를 이용하여 실험 대상이 되어 발견을 하며 괴혈병을 정복하게 된다.
만약에 괴혈병을 더 빨리 정복 할 수 있었더라면, 어땠을까,
천사와 악마의 두 얼굴을 지닌 약, 모르핀,
어르신들 이야기에 의하면 예전 동네에서 삼베를 만들 던 대마를 민간요법을 이용해 진통제로 사용했다고 들은 적이 있다. 지금은 식약청 허가에 따라 관리가 되고 있고, 의약용으로 재배가 되고 있다. 역사상 최강의 진통제라고 불리우는 모르핀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기원전 양귀비를 의약품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니.모르핀의 역사는 길다. 양귀비 중 일부의 종에서 나오는 씨방에서 아편이라는 마약이 만들어진다고 한다. 아마도 아편의 효능이 높게 평가가 되자 유아부터 노인까지 아편을 손쉽게 얻을 수 있었고 중독자가 급증하게 되었다고 한다. 모르핀의 연구는 계속 되어 왔다. 인간의 뇌 속에서 모르핀이 정착되는 장소를 발견하고 엔드로핀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도 금단증상을 일으키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아마도 영국과 청나라의 아편 전쟁의 속 역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무서운 존재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의약에서 환자에게 필요한 진통제 역할도 함께 하기에 두 얼굴을 지닌 약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만약 모르핀을 찾지 못했더라면 지금은 어땠을까,
이 외에도 아스피린, 페니실린, 소득약 등을 소개되고 있고, 결정적 고비마다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구한 위대한 약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의학에 대한 정보와 상식, 그리고 세계적인 역사가 함께 녹아져 있기에 자녀들이 읽으며 미래의 진로 결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고 내가 읽는 다면 상식을 하나 더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가 된다. 한 장씩 더해지면서 내용에 대해 흥미를 더해갈 수 있을 것이다.